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임병화 칼럼] 앞서가는 5G시대, 지속적인 노력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원대 경제학부 교수

이투데이

지난 1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는 수도권을 비롯한 6대 광역시 등 주요 거점에서 일제히 5G 전파 발사를 시작하였다. 세계 최초로 5G 상용서비스를 시작한 것이다. KT가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G서비스를 선보인 것을 비롯하여 우리나라가 전 세계 5G시장을 계속해서 선도해 나가게 된 것이다.

5G기술은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등의 특징을 갖는다. 4G(LTE)에서 1Gbps였던 최대 전송 속도는 5G에서 20Gbps로 20배 이상 빨라지고 사용자 체감 지연도 4G 대비 10배 감소된다. 15GB 되는 UHD 영화를 6초 안에 받을 수 있으며 반응 속도도 10배 이상 빨라지는 것이다. 최대 연결 IT 기기 수도 반경 1㎢당 100만 대로 4G 대비 10배 이상 증가한다.

다만, 5G-LTE 혼합망인 이번 5G 상용서비스는 관련 표준 및 장비 미비로 4G 대비 전송 속도 증가가 20~30%에 불가하다. 5G 단독망은 2020년이 되어야 서비스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전파 발사는 5G 주파수인 고주파 대역을 활용한 것으로 5G 시대의 기초 인프라가 준비되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5G기술은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디지털 혁신을 촉진할 것이다. 먼저 자동차산업에서는 차량 운행 정보의 실시간 분석과 자동차 안에서의 인포테인먼트를 비롯하여 주위 차량, 보행자, 인프라, 네트워크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안전한 주행 환경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전방 사고 감지 후 반응하기까지 1m가량 되었던 4G 기반 자율주행차의 제동 거리가 5G에서는 2.7cm에 불과하다.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차이다. 향후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제조업 분야에서의 활용은 보다 광범위하다. 5G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나 작업용 로봇을 이용하면 고객 주문을 시작으로, 제조 공정, 재고 관리 등의 전 과정에 대한 실시간 관리가 가능하다. 이는 신속한 제품 생산으로 이어질 것이다. 공장 간 실시간 정보 공유로 효율적 제품 생산을 유도할 수 있으며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AI기술이 연구개발, 유통, 생산, 마케팅 등에 실시간으로 활용 가능해진다.

이뿐만이 아니다. 의료산업에서는 5G 기반 웨어러블 기기로 개인 건강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과의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전문적 진단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5G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지 않고 장치 자체나 로컬 컴퓨터 서버에서 처리하는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원격 의료 서비스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이밖에도 고화질 영상과 VR·AR 콘텐츠를 포함한 미디어산업이나 5G통신망과 결합된 고화질 카메라, 센서 등을 이용한 공공안전 분야를 포함한 스마트 시티 구현에 5G기술이 적극 활용될 것이다. 그야말로 미래 도시의 핵심 기술이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5G 상용서비스가 시작되었지만 아직까지 국제 표준이 정해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구현된 통신기술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산업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국제표준 설정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미국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인데 각국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적극 지원하고는 있지만 고려해야 할 부분이 적지 않다. 먼저 5G기술은 고주파를 사용하는데 고주파는 파장이 짧아 높은 빌딩 등을 투과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중계기 등을 촘촘하게 구축해야 한다. 통신사들의 부담은 결국 소비자가 질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5G 스마트폰 상용화도 앞둔 만큼 관련 산업 규제도 정비해야 한다. 특히 자율주행차, 드론, 원격진료 등의 서비스업 규제 완화가 시급하다.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인 에릭슨은 2026년에는 5G 기반 ICT 산업 규모가 1조3000억 달러에 달하고 2024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40%가 5G를 사용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시장을 선도하고는 있지만 이제 시작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정부와 산업계가 더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시점이다.

[임병화 수원대 경제학부 교수 (opini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