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사설] 한국과 인도, 함께 도약할 수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 중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22일 정상회담을 하면서 여러 현안을 다뤘고 실질적인 합의도 이뤄냈다. 두 정상은 공동 언론발표에서 서로를 가장 든든한 동반자라고 추켜세웠고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협상을 이른 시일 내 마무리하기로 했다. 한국인의 인도 체류 허가 기간을 3년으로 연장하고 동시에 우리 정부는 인도인에 대한 단체관광비자 발급을 개시하기로 했다. 양국은 특히 우주 분야에서 공동으로 달을 탐사할 때까지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인도 경제를 '질주하기 시작한 코끼리'라고 표현했다. IMF 전망치를 보면 인도 경제는 2018년 7.3%에 이어 2019년 7.5%, 2020년 7.7% 성장률을 올릴 것이라는 추산이다. 과감한 규제 완화 및 인프라스트럭처 확충 등 기업 환경 개선을 통한 제조업 육성과 적극적인 외자 유치를 통한 모디노믹스의 성과다. 세계 2위인 13억 인구에다 경제 규모도 2017년 국내총생산(GDP) 2조5900억달러로 세계 6위로 성장했다. 무엇보다 우수한 정보기술(IT) 인력을 기반으로 디지털 경제에서 앞서 있어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나라다.

우리 IT와 전자 분야에서 인도로 수출은 지난해 27억달러로 전체 중 1.3%에 불과했다. 삼성전자, LG, 현대차가 현지에 공장을 세우고 투자에 나섰지만 이들 몇몇 대기업에만 국한됐을 뿐 저변을 넓히지 못한 상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7월 인도를 국빈방문했을 때 삼성전자의 노이다 신공장 준공식에도 참석했다. 11월에는 김정숙 여사가 별도로 방문하는 등 양 정상 간 우의를 돈독하게 다져왔다. 인도는 신동방정책을, 우리는 신남방정책을 각각 펼치면서 맞닿아 있다. 인도는 중국 경제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우리 교역 구조를 바꾸는 데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파트너다. 올해 내 설치될 한·인도 연구혁신협력센터와 한·인도 미래비전전략그룹 등을 통해 내실 있는 협력을 끌어내야 한다. 양국 정상이 2030년까지 한·인도 교역을 500억달러까지 확대하자고 뜻을 모았으니 제조업, 인프라, 미래기술 등에서 함께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