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새내기 재테크]새는 월급 모으려면? “쪼개야 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늘도 월급이 통장을 스친다. 지난달 쓴 카드 값이 빠져나가기 무섭게 통장 잔고는 0으로 수렴한다. ‘빈 통장 ⟶ 신용카드 의존 ⟶ 월급날 ⟶ 카드 대금 지불 ⟶ 빈 통장’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재테크 고수들이 추천하는 ‘통장쪼개기’를 실천하기로 마음먹었다.

중앙일보

재테크 고수들은 "쪼개야 모인다"고 말한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단계는 예산 세우기



통장쪼개기는 목적에 따라 돈을 별도의 통장에 보관하는 방식이다. 온라인상에서 재테크 고수들은 한 목소리로 말했다. “인간의 뇌는 매우 단순해서, 여러 용도로 통장을 나눠두지 않으면 돈을 물처럼 쓰기 쉽다”고. 아니나 다를까, 아무리 가계부를 꼼꼼히 적어도 늘 지출은 예산을 넘어서곤 했다. 통장쪼개기는 예산안을 좀 더 잘 실천하게 돕는 방법이다.

자연스럽게 통장쪼개기 1단계는 예산 세우기가 됐다. 법인카드를 제외한 생활비가 얼마나 되는지, 비정기지출을 얼마로 잡을지를 그간 작성한 모바일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을 토대로 따져봤다.

통장을 몇 개로 쪼갤지도 고민거리였다. 온라인상에 올라온 통장쪼개기 후기를 읽어보니, 보통 생활비·비상금·경조사비 정도로 통장을 쪼갰다. 기자의 경우 총예산 92만원을 생활비·경조사비·비상금·비정기지출·정기지출로 쪼개기로 했다. 비상금은 정말 비상시에 쓰는 돈이고, 비정기지출은 종종 발생하는 큰 지출에 대비한 항목이다. 염색하러 미용실에 가거나 쇼핑할 때 ‘지름신’이 강림할 상황을 대비해 비정기지출 통장에 매달 10만원씩 넣기로 했다.

중앙일보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행 앱에서 정기 자동이체 설정



이제 정기 자동이체를 설정할 차례. 월급날이 되자마자 돈을 나눠둬야 통장쪼개기를 제대로 실천할 수 있다. 대부분 은행 모바일 앱을 통해 정기자동이체를 신청할 수 있다. 기자는 우리은행을 월급통장으로 써왔는데, 확인해보니 정기자동이체를 할 때 건당 300원의 이체 수수료가 발생했다. 최소 5개로 통장을 쪼개면 다달이 나가는 이체 수수료만 1500원이었다.

수수료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체 수수료가 무료인 은행을 중간에 넣었다. 카카오뱅크는 한시적으로 다른 은행으로 자동이체할 때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자동이체 목록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편리했다. 카카오뱅크 앱에 들어가 월급날 다음날 4개 통장으로 자동이체 되도록 설정해뒀다. 21일 월급이 들어오자 우리은행에서 카카오뱅크로 92만원을 송금했다.



쪼개야 모인다는 진리



22일, 결전의 날이 밝았다. 카카오뱅크로 옮겨둔 돈이 용도에 따라 분산될 예정이었다. 오후 6시 무렵 통장 잔고가 계획대로 분할됐다.

통장이 많이 생기면 지출할 때 헷갈리지 않을까 싶었는데 그렇지 않다. 생활비 계좌와 비정기지출 계좌만 연동된 체크카드를 들고 다니면 된다. 비상금과 경조사비 통장은 평소엔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통장을 5개로 쪼개면 5개 체크카드 앞에서 매번 고민하게 될 줄 알았는데, 일상에선 2장이면 충분했다. 체크카드기 때문에 지출할 때마다 잔액에 신경 쓰면서 조심조심 소비하게 되는 효과는 ‘덤’이었다.

통장쪼개기를 한 뒤 이틀간 체크카드로만 살았으나 큰 불편은 느끼지 못했다. 갑자기 사고 싶은 옷이 생기거나 학원을 끊게 될 경우 ‘신용카드 할부찬스’를 쓰게 될까 걱정되긴 한다. 비정기지출 통장에 좀 더 돈이 모일 때까지 기다리거나, 해당 지출을 위해 적금을 하나 더 붓는 식으로 대처해야 할 듯싶다. 신용카드 할부에 기대온 지난 6개월에 비해 돈에 대한 관념이 잡히는 느낌이 든다. 뒤늦게 재테크 고수들의 가르침에 고개를 끄덕이게 됐다. “돈은 쪼개야 비로소 모인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