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멧돼지 사체만 보면 '불안'…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총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요즘 북한과 맞닿은 접경지역에서는 멧돼지가 넘어올까 매일 긴장 속에 있습니다.

2주 전 북한에 발병한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멧돼지를 통해 우리 쪽에 전파되는 것을 막으려고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것인데, 현장을 김관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강원도 철원군. 해발 500m의 야산 깊은 곳에 거대한 구조물이 내려집니다.

출몰하는 야생 멧돼지를 잡기 위한 포획틀입니다.

산 위쪽에서 내려온 멧돼지는 사료를 먹기 위해 이 포획틀 안에 들어와 바로 이 발판을 밟게 됩니다. 발판을 밟는 즉시 포획틀 양쪽의 문이 닫히면서 그대로 갇히게 됩니다.

포획틀은 야생 멧돼지가 자주 다니는 것으로 보이는 길 가까이 설치됐습니다.

[민경기/야생생물관리협회 : 돼지 앞발굽이고 이게 며느리발톱이에요. 그럼 이 정도 크기이면 한 150근에서 200근, 그 이상이라고 봐야죠.]

나흘 전 철원군에서 멧돼지 폐사체 1두가 신고됐는데, 다행히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돼지 농가들은 걱정이 큽니다.

[최성순/철원 돼지 사육농가 : 농장에서 한 200미터 떨어진 지역에서 멧돼지 성체를 본 적 도 있고요. 만약에 저희 농장에서 발생 된다고 하면 치료제가 없으니까 일단은 폐업까지도 우려를 해야 되고….]

실제로 아프리카돼지열병처럼 멧돼지를 통해 전파되는 돼지열병의 경우, 최근 몇년간 접경지역에서 남하, 확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멧돼지 개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어 바이러스가 유입되면 순식간에 확산할 수 있습니다.

국내 멧돼지 서식밀도는 1㎢당 5.2마리. 전염병 전파가 어려운 기준인 1㎢당 1마리를 훨씬 뛰어넘습니다.

상당한 예산을 쓰고도 멧돼지 개체수 조절에 실패한 것이 위험을 키웠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원형희)

▶[하이라이트 영상] 2019 FIFA U-20 월드컵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네이버 메인에서 SBS뉴스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