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fn사설] 수소경제, 단독보다 '콤비 플레이' 가 절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17일 서울에서 '2019 국제 수소에너지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유관 부처가 총출동했다. 미국·일본·독일·호주·중국 등의 수소에너지 전문가들도 다수 참석했다. 어찌 보면 문재인정부가 국제사회에 '수소경제'라는 깃발을 들었음을 알리는 자리였다. 이 같은 의욕은 높이 살 일이나, 수소경제 시대를 여는 퍼스트 무버로 나섰다가 실족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그러려면 국제 기술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토대부터 단단히 다져야 한다고 본다.

그런 맥락에서 걱정되는 대목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정부는 연초부터 야심찬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했다. 예컨대 2040년까지 620만대를 생산하기로 한 수소차를 신성장동력으로 키우려는 복안이다. 하지만 고지에 오르려는데 등정경로를 부실하게 짠 인상이다. 수소차는 충전 후 주행거리는 전기차에 비해 길다. 반면 운행 시 필요한 수소를 만드는 데 막대한 전력이 소요된다. 문제는 이에 대한 정부의 현실적 대안이 안 보인다는 점이다. 원전에 비해 효율성이 극히 낮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40년까지 30~35%로 높여 폭증할 전력수요를 감당한다니 탁상공론으로 비치는 것이다.

더욱이 우리가 수소경제라는 미래 시장에 먼저 발은 들여놓았지만 국제적 환경이 그리 녹록지 않다. 주요 경쟁국인 일본이 주도권을 잡으려 하고 있어서다. 불길한 조짐은 벌써 감지됐다. 일본은 15일 자국에서 한국을 따돌린 채 미국·유럽과 수소에너지 기술협력을 내용으로 하는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이런 '수소경제 3자 연대' 움직임의 함의를 정부는 애써 축소하는 듯한 기류다.

물론 "동맹체 추진보다 사업별로 국가 간 협력채널을 구성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일각의 시각이 100% 잘못된 건 아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경쟁국인 일본과의 기술연대도 마다해선 안 된다고 본다. 삼성전자가 독자적으로 만든 스마트폰 운영체제(OS) '바다'는 사실상 사장됐다. 아무리 기술적으로 앞서가더라도 국제표준에서 배척되면 말짱 헛일이다. 정부가 미국과 유럽 그리고 중국 등 큰 시장과 보조를 맞춰 수소차나 충전소 안전기준 등의 국제표준 제정에서 밀리지 않도록 유의할 때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