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팔 게 없어요" 씨가 마른 연금보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전혜영 기자] [최근 5년간 신상품 기근, 역마진 리스크 큰 생보사 매출 급감 두드러져…고령화 시대 대책마련 시급]

머니투데이

오는 2022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 17) 도입을 앞두고 보험회사의 연금보험 판매 기피 현상이 두드러진다. 신상품은 손에 꼽을 정도로 자취를 감췄고 판매 실적도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보험사가 출시한 연금보험 신상품은 20개가 채 되지 않는다. 삼성생명은 2016년 ‘빅보너스변액연금보험(무배당)’을 출시했고, 한화생명은 2017년 ‘3세대트리플라이프연금보험’을, 교보생명은 2018년 ‘교보뉴플랜연금보험’을 내놨다. 생보업계에서 가장 최근에 출시된 연금보험은 BNP파리바카디프생명이 올 2월 출시한 ‘시그니처ETF변액연금보험’ 이다.

손보사들은 신상품 기근이 더 심하다. 2016년 DB손해보험이 ‘다이렉트연금보험’을 출시한 후 신상품을 출시한 곳이 한 곳도 없다가 3년 만인 지난 4월 더케이손해보험이 ‘연금저축손해보험 The큰행복연금보험’을 내놓은 것이 전부다.

상품 자체가 위축되면서 실적도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생보업계의 경우 주요 8개사의 연금보험 판매실적이 신계약 월 초회보험료 기준 2016년 2조3206억원에서 2017년 1조8318억원으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1조3790억원까지 떨어졌다. 이 같은 추세면 올해는 1조원을 밑돌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생보업계에 비해 연금보험 비중이 적은 손보업계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주요 8개사의 연금보험 판매실적은 2016년 90억6000만원에서 2017년 80억8000만원, 지난해 74억4000만원으로 떨어졌다.

고령화 시대에 연금보험이 오히려 외면받는 이유는 저금리로 인한 보험사의 자본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생명보험사들은 연금보험 매출이 적지 않음에도 저금리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역마진 부담이 있는 연금보험 판매를 늘리는 것은 재무건전성 차원에서 리스크가 크다고 보고 있다. 특히 IFRS 17 도입과 이에 맞춰 감독회계기준인 킥스(K-ICS)가 시행되면 금리에 민감한 연금보험은 추가 자본확충 부담이 늘어난다는 점이 문제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에 판 고금리확정형 상품으로 인한 역마진 부담이 상당한 상황에서 굳이 금리부담이 있는 연금보험을 팔 이유가 없어 상품 판매를 줄이는 추세”라며 “과거에는 세금 면에서 유리하다며 상품을 팔았으나 2017년부터 세제혜택도 감소해 가입유인도 떨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2017년 과세특례 금융상품을 정비한다는 명분으로 연금보험에 대해 일시납은 2억원에서 1억원으로 비과세 납입한도를 축소했다. 월납보험료는 한도가 없었는데 150만원까지만 비과세 혜택을 준다.

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보험사가 연금보험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최저보증이율 인하와 같은 전략적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변액연금 등의 투자형 상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당국도 노후소득보장을 원하는 소비자가 다양한 선택권을 확보하고 경쟁을 통해 소비자에게 유리한 상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혜영 기자 mfutur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