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기자수첩] 뜨거운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전, 이면엔 '표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용인시 '전자파 괴담'으로 한 차례 불발 이후 더 치열

경제효과 이면엔 정치효과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136대 1.


네이버 제2 데이터센터 유치전이 뜨겁다. 용인시가 퇴짜를 놨던 터라 더더욱 예상밖의 흥행이다. 한번의 실패가 오히려 전화위복이 됐다. 지난 23일 마감한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부지 의향서 접수에 총 136곳의 지자체와 민간사업자가 신청했다. 지자체 60곳에서 78개 부지를, 민간·개인사업자가 58개 부지를 제시했다. 136대1의 경쟁률이다. 앞서 네이버는 용인시에 착공할 계획이었지만 전자파를 우려하는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이후 유치지역을 공모했는데 대박이 터진 것이다.


통상 정보기술(IT) 기업들이 데이터센터를 지을 때는 내부적으로 부지를 물색한 후 계약을 체결한다. 필요한 부지에 대한 매각 공모가 있을 경우 참여하기도 한다. 최근 삼성SDS가 그랬다. 여섯번째 데이터센터 부지를 확보할 때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내놓은 경기도 화성시의 동탄 일대 부지를 낙찰받았다.


네이버와 같은 공개 모집 방식은 그 자체로 이례적이다. 지자체들이 앞다퉈 참여한 배경은 짐작이 된다. 데이터센터 유치에 따른 지방세 증가, 고용 창출, 지역 상권 등 경제효과를 노렸을 것이다. 하지만 데이터센터는 생각만큼 경제효과가 크지 않다. 대부분 자동화 시스템이어서 사람 손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 실제로 네이버가 강원도 춘천에 지은 데이터센터는 축구장 7배 넓이인 5만4000여제곱미터지만 근무 인력은 170여명에 불과하다. 지역상권에 미치는 영향도 미풍인데다 지방세도 놀랄 수준이 아니다. 네이버가 지난해 춘천시에 납부한 지방세는 168억원이다.


결국 '경제'가 아닌 또 다른 이유가 이번 유치전에 숨어 있다. 일각에서는 '정치'를 꼽고 있다.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의 완공 예정 시기는 2022년이다. 이 해에는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있다. 최경진 가천대 법대 교수는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를 유치하면 친 경제적인 행정가, IT(정보기술)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행정가라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데이터센터가 단체장의 치적으로 평가되고, 자연스럽게 선거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얘기다. 예상 밖의 뜨거운 유치전의 이면에는 '표심'이 있었던 것이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