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일제침탈 증거' 방공호 인천에만 10여개…"문화재로 활용해야"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맥아더동상 뒤편 방공호 외부와 내부
[인천시립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인천=연합뉴스) 강종구 기자 = 일본 제국주의 침탈과 강제 노역의 증거물인 일제 강점기 방공호가 인천에만 10여곳 있는 것으로 조사돼 어두운 역사를 보여주는 '네거티브 문화재'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인천시립박물관은 13일 근·현대 문화유산 조사의 일환으로 최근 방공호 시설 기초 조사를 벌여 일제 강점기 방공호 10여곳의 위치와 관리 상태를 파악했다고 밝혔다.

우선 자유공원 맥아더 동상 뒤편 공영주차장 내 방공호의 경우 높이와 폭이 각각 약 2m 규모로 조사됐다. 도달할 수 있는 길이는 약 10m이지만 그 이상의 내부는 시멘트로 막혀 진입할 수 없었다.

인근 석정루 아래쪽 절벽에 위치한 방공호는 높이 1.5m, 폭 1.2m 규모로 초입 부분의 천정과 벽체는 시멘트로 마감됐다.

절벽 안쪽으로 방공호가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정확한 길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 이곳은 카페의 창고로 사용되고 있다.

인천시역사자료관에도 축대 아래에 'ㄷ'자 형태의 작은 석실형 방공호가 남아 있다. 역사자료관은 과거 일본인 사업가의 저택이었다가 해방 후 인천시장 관사로 사용되기도 했다.

중구 신흥동 긴담모퉁이길 석축 아래에도 방공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 관료들과 사업가들을 위한 시설로 추정되며, 방공호 입구는 아치형으로 입구 주위는 콘크리트로 보강돼 있고 현재 철문으로 닫혀 있다.

일제 방공호는 1937년 제정된 '방공법'에 따라 공습 대피 시설 건설을 법제화한 이후 급격히 늘어났다.

인천 역시 1883년 인천항 개항 후 일본인 거주지역인 일본 조계지가 마련될 정도여서 일제 강점기에 설치된 방공호의 수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실체와 위치에 대한 조사는 정식으로 이뤄진 적이 없다.

정확한 현황 파악이 이뤄지지 않다 보니 도시 재개발 사업 때 방공호 입구가 함몰되거나 통째로 매몰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동현 인천시립박물관장은 "흔적들을 지워버리면 증거를 잃어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아픔을 기억하고 후세에 교훈적 가치를 전해야 하는 기억 유산으로 방공호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 관장은 이어 "네거티브 문화재를 지역 유산으로 보호하고 보존해야 하는지에 대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인천 방공호
(인천=연합뉴스) 긴담모퉁이길 방공호(위쪽)와 역사자료관 내 방공호(아래쪽). 2019.8.13 [인천시립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inyo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