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이슈 세계 금리 흐름

美, 금리 인하·감세 검토에 中도…G2에 덮친 글로벌 침체 파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미국 재무부가 5일(현지시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은 1994년 클린턴 행정부 이후 25년 만이다. 6일 서울 을지로 KEB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한 직원이 미국 달러화와 중국 위안화 지폐를 정리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뉴욕=김봉수 특파원, 베이징=박선미 특파원] 미국 내에서 확산되는 경기침체(Recession) 우려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를 향해 대폭의 금리인하를 재차 압박하는 한편 감세 카드까지 검토하는 분위기다. 여기에 경기 둔화 우려에 직면한 중국도 금리인하 카드를 꺼내드는 등 글로벌 침체의 파고가 무역전쟁을 촉발한 주요 2개국(G2)에도 덮치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제롬 파월 Fed 의장의 끔찍한 비전 부족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는 매우 강력하다"면서 "민주당은 2020 대선을 목적으로 경제가 나빠지도록 시도하고 있다. 매우 이기적"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강(强)달러가 다른 나라까지 해치고 있다며 "Fed가 금리를 단기간에 최소한 100bp(1bp=0.01%포인트) 내리고, 양적 완화에도 나서야 한다"고 압박했다. 그는 Fed의 행동으로 미 경제가 좋아지는 것은 물론 세계 경제도 개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들은 경기 둔화 조짐에 대해 Fed의 금리 인상을 탓하지만 많은 경제학자와 경영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금융시장을 위협하고 기업들의 투자 심리 약화와 글로벌 경제 둔화를 가져 왔다고 지적한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경기 방어를 위해 급여소득세(payroll tax)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는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당국자 3명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고위 경제 참모들 사이에서 경제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아직 초기 단계로 확정된 것은 없지만 백악관 내부에서 둔화된 경제를 부양시키기 위한 아이디어 차원에서 감세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것이다. 급여소득세 인하는 근로자들의 소득 증대로 직결돼 경기 부양 효과가 큰 반면 재정 적자 확대와 사회복지 예산의 감축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은 정책이다.


미국은 2011년 글로벌 금융 위기 탈출을 위해 급여소득세를 6.2%에서 4.2%로 낮췄다가 2013년 다시 6.2%로 올렸었다. 당시 감세 조치로 연간 1000억달러(약 121조2500억원)의 세수가 감소했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은 경기 침체 가능성을 부인하지만 백악관 참모들은 내년까지 경제가 좋은 상태로 있어야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백악관 측은 성명을 내고 "미국인들을 위한 감세가 논의 중인 것은 맞지만 현재 급여소득세 인하를 고려 중인 것은 아니다"고 부인했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도 사실상 금리인하를 통해 경기 침체에 대응하고 나섰다. 인민은행은 20일 새 대출금리 산정 기준인 대출우대금리(LPR)를 4.25%로 고시했다. 인민은행은 매달 20일 LPR를 발표하게 되며 중국 내 은행 등 금융기관들은 새로 발표되는 LPR를 반드시 대출금리 산정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그동안 중국에서 기준금리 성격의 1년 만기 대출금리가 2015년 10월부터 4.35%를 유지해온 점을 고려하면 이번 LPR 고시는 사실상 우회적으로 금리인하를 결정한 것이란 해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인민은행이 앞으로도 LPR금리를 더 내릴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은행들이 적용할 수 있는 대출금리를 낮추는 방법으로 경기부양 카드를 꺼냈다는 얘기다. 앞서 인민은행도 새 제도를 '시장 기반 금리 개혁'이라고 표현하며 "대출 받는 이들의 금융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뉴욕=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
베이징=박선미 특파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