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서울, 고령사회 됐다···‘인구 1000만’도 곧 붕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로 거주지를 옮기는 시민이 많아지면서 전체 인구도 조만간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 등록 인구가 외국인을 포함, 1004만9607명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2017년 1012만4579명보다 7만4972명(0.7%) 줄어들었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은 141만297명으로 서울 총인구의 14.4%를 차지했다. 이로써 서울은 처음으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노령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2026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서울시는 예상했다.

경향신문

서울시 인구 변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서울시 외국인 인구 변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기 울음소리’도 크게 줄었다. 지난해 신생아 수는 전년(6만5389명)보다 7389명 감소한 5만8000명으로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1992년 18만2691명과 비교하면 12만4691명이나 감소했다.

전체 인구가 계속 줄어들면서 ‘1000만 도시’란 수식어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3년간 서울시 순전출 인구(전출자 수-전입자 수)가 평균 8만여명임을 감안하면 올해 말 또는 내년 상반기 서울시 등록 인구가 1000만명 미만으로 감소할 것으로 서울시는 내다봤다.

인구 감소의 가장 큰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엔 46만여명이 서울로 전입하고 57만여명이 전출해 순전출 인구는 11만명이었다. 순전출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13만5216명), 서울시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2만5321명)였다.

서울시가 지난 7월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조사 결과를 보면, 39.6%는 인구 감소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부정적’은 37.9%, ‘긍정적’은 22.5%였다. 40대에서 부정적 의견이 많았고, 20~30대에서는 다른 세대에 비해 긍정적 의견이 많았다. 인구 감소로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 주거(43.1%), 교통(37.9%), 교육(30.0%) 순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사회(60.9%), 복지(59.4%), 국방(47.5%), 경제(47.0%) 분야는 인구 감소가 지속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됐다.

경향신문

서울시 인구 감소가 본인에게 미치는 영향.


서울 전체 인구가 내리막길을 걷는 와중에도 서울 거주 외국인은 꾸준히 늘어 지난해 말엔 28만3984명(전체 2.83%)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4만5072명(0.43%)이던 1995년보다 6.3배 늘어난 수치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급격한 인구 변화에 따라 행정 수요도 가파르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고영득 기자 godo@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