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3시간 대기, 새벽 대출신청…서민 안심대출, 0.1%p의 대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16일부터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신청접수가 시작됐다. 은행 창구는 큰 혼잡이 없지만 온라인은 신청자들이 몰리면서 접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전히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려면 세시간 이상 기다려야 하네요. 접속돼도 오류가 나서 아무것도 안 되고요. 0.1%포인트 (금리) 혜택 안 받고 은행 가서 (신청)하는 게 정신건강에 좋을 듯.”

19일 한 인터넷카페에 올라온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관련 불만 글이다. 같은 날 “접속하니 80만 번째 대기자라고 하더라”, “주택금융공사 콜센터는 온종일 불통이다”라는 글도 이어졌다. 또 다른 인터넷카페에서는 “매일 접속자가 몇만 명이어서 새벽 타임을 노렸다. 오늘 새벽 3시에 신청해 성공했다”는 성공담도 올라왔다.



출시 5일째도 대기 인원 6만명



16일 출시와 함께 시작된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대란이 이어지고 있다. 출시 5일째인 20일도 대기 인원은 수만 명 수준이었다. 이날 오후 2시 기자가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자 6만7000명 넘게 대기 중이라는 안내 메시지가 떴다. 출시 첫째 날, 둘째 날이 지나면 대기인원이 좀 줄어들 거라던 금융위원회와 주택금융공사의 예상이 빗나간 셈이다.

중앙일보

20일 오후 2시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자 대기 인원이 6만7000명이 넘는다고 안내한다. [주금공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청자 수와 신청 금액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16일 0시부터 이날 오후 4시까지 신청 완료된 건수는 11만8027건, 금액은 13조9135억원에 달한다. 건수 기준으로는 온라인 접수 비중이 79.5%를 차지했다. 은행 창구가 아닌 온라인으로 전자약정까지 하면 금리할인(0.1%포인트)을 제공하다 보니 대부분 신청자가 접속 대란을 감수하면서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로 접수로 몰리기 때문이다.



"신청 대기인원 주말 지나면 꺾일 듯"



금융위 관계자는 “당초엔 온라인 신청자 수가 훨씬 더 분산될 줄로 예상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주택금융공사가 출시 전부터 서버 용량을 10배로 늘리고 대비했지만 부족했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이후 서버를 추가로 임차하고 입력 서류를 간소화하는 등 사력을 다해 대응하고 있다”며 “그 결과 하루 온라인 처리 건수가 점점 늘어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갈수록 신청자 수가 계속 늘고 있지만 다음 주 초 이후엔 신청자 수가 점차 줄어들지 않겠냐는 것이 금융위 전망이다. 5일 만에 한도(총 20조원)의 70%를 거의 채웠다는 점에서 최종 신청금액이 한도를 초과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엔 집값이 낮은 신청자에 우선 기회가 주어진다.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의 지원 대상이 될 수 있는 변동금리·준고정금리 기 대출금은 총 100조원 내외로 추정된다.



"시장금리 좀 올라도 최저 1.85% 금리 유지"



최저 1%대 저렴한 고정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의 신청은 9월 29일 일요일까지다. 온라인(모바일, PC)으로는 24시간 접수하고, 14개 은행 창구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다.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의 금리는 지난달 1.85~2.20%로 잠정 결정됐다. 실제 적용 금리는 10월에 시장 상황을 봐서 확정할 계획이다. 최근 한 달 사이 시장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며 0.15%포인트 넘게 오르긴 했지만, 금융위는 되도록 발표한 금리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쇼크(충격) 수준으로 금리가 급변하지 않는 이상 가급적 발표한 수준을 지키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