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와글와글NET세상> 공포의 화상벌레 설왕설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민우 기자] [일요시사 취재1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 주는 공포의 화상벌레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일요시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영, 진주, 천안, 구미, 청주, 서산, 부산, 울산…. 전국 곳곳서 청딱지개미반날개, 일명 '화상벌레'가 출현한 데 이어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농촌 지역이 아닌 시내서도 발견돼 보건당국이 긴급 방역에 나섰다.

잇단 보고

청딱지개미반날개는 딱지날개가 배 반쪽만 덮고 있어 붙은 이름이다. 원통형의 몸길이는 6∼8mm. 생김새는 개미와 비슷하다. 머리와 가슴, 배 부분의 색깔이 각각 다른 것이 특징이다.

전체적으론 검은색과 붉은색을 띠고 있다. 딱지날개는 짙은 푸른색이고, 앞가슴등판과 배의 대부분은 주황색이다. 날개가 매우 짧아 날 수 없다. 주로 산이나 평야의 습한 지역에 서식하며 다른 곤충을 먹이로 삼는다. 낮에는 주로 먹이활동을 하고 밤에는 빛을 발하는 실내로 유입하는 성향이 있다.

체액에 '페데린(pederin)'이란 독성 물질이 있어 피부에 접촉하거나 물릴 경우 '페데러스 피부염'이라 불리는 증상을 일으킨다. 물리면 수시간까지 증상이 없다가 하루 정도 지나면 붉은 발진이 올라오고 물집이 생긴다. 때문에 화상벌레라고도 불린다. 접촉한 부위는 2∼3주간 피부 껍질이 벗겨지고 불에 덴 듯한 고통이 느껴지는 등의 자극이 생길 수 있다.

본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가 원산지. 국내에선 1968년 전남 지역에서 처음 보고된 바 있다. 이후 국지적으로 유행했는데, 사실상 국내에 토착화됐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그렇다면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아니 뭔 이런 벌레가 다 있지?' '이미 전국적으로 많은 것 같은데?' '천안에서 화상벌레를 발견하자마자 바로 질병관리본부에 전화했으나 심각성을 모르는 것 같아요. 살충제 구입해서 또 발견하면 뿌리래요. 언제 정신을 차리려나∼'

'저 벌레 검색하면 전국 각 지역 카페들마다 집안서 잡았다는 글이 넘쳐난다. 비단 특정 지역에서만 국한해 보이는 게 아니라는 얘기. 정부는 방역을 완벽하게 해라' '안동인데 저도 물려서 물집 생기고 화끈거리네요. 집안서 기어다니길래 잡기는 했는데 아직 더 있을 거 같네요'

전국 곳곳에 청딱지개미반날개 출몰
농촌 지역 아닌 시내서도 발견 비상


'포항인데 여기도 화상벌레 발견! 조금 전에 집에서 한 마리 잡았어요. 독특하게 생겨서 금방 알아봤고 독이 있다 해서 휴지로 조심조심 압사! 빨리 안 죽더군요. 야밤에 깜짝 놀랐어요. 더 나올까봐 걱정이네요. 모두 조심하세요'

'경기 광명이에요. 이틀 전 집에서 2마리 잡았습니다. 아파트인데 어떻게 날아 들어왔는지…신랑이 손으로 잡아서 물집이 잡혔어요. 이거 확산되면 문제 있는 거 아닌가요?'<1004****>

'분당입니다. 고층 아파트인데 좀 전에 집에서 한마리 잡았습니다. 그냥 날벌레인 줄 알고 잡았는데 화상벌레네요. 다들 조심하세요' '상당히 독성이 강한 벌레입니다. 저도 이번 여름에 감염됐는데 통증은 둘째치더라도 시커멓게 변한 상처가 아직도 낫지 않고 있어요. 벌레에 많이 쏘여보고 물려봤지만 이 정도로 독한 적은 처음입니다'

일요시사

청딱지개미반날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딱지개미반날개'동남아 기후로 바뀌어서 독충들이 들어와서 살아남나?' '대한민국이 지정학적으로 기후가 변화되고 있다는 반증인 듯…' '동남아서 사는 동식물들이나 곤충이 우리나라에도 서식하게 되는 것 같아요. 해충은 국가서 잘 관리해 국민들에게 정보를 알려주고 대비해나가야 될 것입니다'

'더 확산되기 전에 뿌리를 뽑아야할 듯' '발견하면 없애자. 바퀴벌레처럼 되면 안 돼∼' '극혐벌레네요. 빨리 멸종시켜주세요' '정말 세상에는 별의별 벌레가 있네요. 몸에 닿기만 해도 화상을 입는 벌레는 충격적이에요. 동남아 여행갈 때도 상식적으로 알고 가야할 것 같습니다'

'카페 글들 보면 전국적으로 다 퍼진 듯 하네요. 빠른 대책이 필요한데 신고해도 모른다는 반응뿐…'

주의보

'이미 1989년 국내 학회지에 임상 및 곤충학적 연구가 보고 됐습니다. 이 벌레는 추수기에 저녁 빛을 보고 집에 들어오기 때문에 창문의 방충망을 잘 닫아두시는 게 중요합니다. 벌레가 접촉된 곳에 괴사성 피부염이 생기니 피부염이 생기면 피부과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속 기사> 화상벌레 접촉했을 땐?

강한 독성을 지닌 '화상벌레'에 물리거나 접촉했을 땐 상처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긁지 말고 재빨리 흐르는 물이나 비눗물로 충분히 씻어야 한다.

심한 경우 물집 및 화상과 같은 자국이 생길 수 있는 만큼 꼭 병원을 찾는 게 좋다.

전용 퇴치약은 없으나 벌레가 출입할 수 있는 방충망이나 창문틀 등에 가정용 에어졸(모기살충제) 또는 기피제를 뿌려 두면 살충·방제 효과를 볼 수 있다. <민>

<저작권자 Copyright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