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철파엠' 유세윤, 뼈그맨→작가·아빠…아들 민하와 부전자전 [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엑스포츠뉴스 김현정 기자] '김영철의 파워FM'(철파엠) 유세윤이 아들 민하와의 육아 에피소드를 꺼내놓으며 솔직한 입담을 발산했다.

17일 방송된 SBS 라디오 '김영철의 파워FM'(철파엠)에는 개그맨 유세윤이 ‘특집 북콘서트’ 코너에 출연했다. 개그맨이 아닌 작가로서, 또 11살 유민하 군의 아빠로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철파엠'에서 유세윤은 '잘 생겼다'는 청취자의 칭찬에 "부끄럽다"라고 말했다. 아니라는 말은 안 나오나 보다라는 김영철의 말에 "진심 아니었나"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그러면서도 "궁극적인 목적은 웃기러 온 건 아니다"라고 이야기했다.

유세윤은 현재 아들 민하가 11살 초등학교 4학년이라며 "아들 민하는 이제 일어나려고 하고 있을 거다. 오전 7시 50분에서 8시 10분 사이에 깨운다. 잘 일어나주는 편이다"라고 말했다.

유세윤은 SNS를 통해 화제가 된 아들과의 '잊지마 시리즈'를 언급했다. 그는 "SNS에 아들과 추억 사진을 올리면서 육아에 대한 보상 심리를 대놓고 생색낸다. '잊지마, 내가 너 업어줬다', '잊지마, 내가 너 코딱지 파줬다', '잊지마, 내가 너 침대였다' 등이 있다. 물에서 들어올린 경우가 많더라. '잊지마 내가 살려줬다'다. 아이가 소변 볼 때 도와줄 때는 '잊지마 내가 너 잡아줬다' 등 생색 시리즈가 있다"고 설명했다.

유세윤은 "민하에게 '아기상어'보다는 UV 음악을 많이 들려줬다. 방시혁의 동요집이 있다. 그중에 '장난꾸러기 원숭이 귀를 잡아당기자'라는 노래를 많이 들려줬다. 조권이 불렀다'라고 밝혔다.
엑스포츠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아들 민하 군과 함께 ‘오늘의 퀴즈’를 출간한 유세윤은 "학교에서 일주일에 일기를 몇 번 이상 써야 했다. 아이가 힘들어하고 왜 일기를 숙제로 써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하더라. 나도 초등학교 때 똑같이 의구심을 가졌던 문제였다. 왜 내 일기를 숙제로 해야 하고 검사를 맡아야 하는지 몰랐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해명이 생각이 안 나더라. 일기를 안 써도 좋으니 대신 아빠와 하루에 하나씩 퀴즈 놀이를 하자고 했다. 내가 질문을 하나씩 하면 민하가 답을 적는다. 하루에 하나씩 한 걸 모아서 책으로 냈다. 책을 낸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스토리만 만들어 웹툰을 낸 적 있다. 페이크 에세이라는 독특한 장르의 책을 낸 적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유세윤에 따르면 민하가 쓴 '가장 기분 좋은 말 베스트3'로는 'ㅋㅋㅋ', 'ㅋㅋ', 'ㅋ'였다고 한다. '당신이 태어난 이유는'이란 질문에는 "엄마 아빠가 결혼해서"라며 성숙한 답을 내놓았다.

"아내가 화가 났을 때 도무지 일주일 넘게 풀리지 않더라. 민하에게 '당신의 친구가 당신 때문에 화가 났다. 어떤 방법으로 화를 풀어줄까'라고 문제 냈다. 심리 전문가를 부른다, 친구가 원하는 것을 한다, 기다린다를 적었다. 그 중에 정답이 있었다. '기다린다'였다. 나만 조바심 낸 거였다"며 민하의 지혜에 감탄했다.

유세윤은 1992년 초등학교 6학년 시절 일기를 읽었다. 당시의 유세윤은 소설가가 되고 싶다며 '원래 꿈은 탤런트지만 내 얼굴로는 무리가 아닐까. 다시 생각해 보니 소설가도 무리다. 원고지 8장 쓰는 것도 쩔쩔 매는데 이 문제는 다시 생각해 봐야겠다'라고 썼다. 이에 대해 "생각은 잘 안 난다. 어머니가 일기를 잘 보관해줬다. 그때 일기를 보면 내가 이랬구나 한다. 민하가 그래서 이렇구나 라는 걸 안다"고 전했다.

그런가 하면 신곡 '시져시져'를 발매한 계기도 이야기했다. "엿장수 공연을 보고 품바 콘셉트로 노래를 냈다. 민하도 엿장수 춤을 좋아하더라. 민하가 제일 좋아하는 노래다. 트렌디하게 할 수 없을까 생각하다 냈다. 양세형이 랩을 피처링해줬다. 저작권협회에 작사가로 이름을 올렸다"라고 했다.

khj3330@xportsnews.com / 사진= 철파엠 보는 라디오, 유세윤 인스타그램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