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fn사설] 이해하기 힘든 文정부의 분양가상한제 고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기어코 민간택지에도 분양가상한제를 실시할 모양이다. 정부는 22일 국무회의에서 분양가상한제 실시요건을 완화하는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은 대통령 재가와 공포·시행 절차만 남겨두고 있다. 개정안은 민간택지에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하는 요건을 누그러뜨렸다. 새 기준에 따르면 서울 전역이 대상이다.

문재인정부의 부동산정책은 오로지 틀어막기다. 대출을 틀어막고, 재건축을 틀어막았다. 분양가상한제는 또 다른 틀어막기다. 하지만 틀어막는다고 집값이 잡힐지는 의문이다. 정부는 서둘러 3기 신도시 프로젝트까지 내놨지만 서울 집값은 여전히 마이웨이다. 서울 강남 수요자와 신도시 수요자가 겹치지 않기 때문이다. 분양가상한제는 수요·공급 원리에 어긋나는 또 하나의 그릇된 정책으로 끝날 공산이 크다.

그나마 경제팀장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다행이다. 홍 부총리는 "분양가상한제는 바로 시행하지 않고 경제여건 등을 고려해 부처 협의를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여건을 보면 오히려 부동산 규제를 풀어야 할 상황이다. 올해 성장률은 2% 달성조차 불투명하다. 이 판국에 분양가상한제라는 족쇄를 채우면 가뜩이나 풀죽은 건설 경기는 꽁꽁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

지난 수십년간 부동산 정책은 냉·온탕을 오갔다. 규제일변도의 문재인정부는 같은 잘못을 되풀이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분양가상한제를 고집할 게 아니라 정책 기조를 시장친화적으로 180도 바꾸는 결단이 필요하다. 수요가 있는 곳엔 공급을 늘리는 게 답이다.

그 대신 정부는 서민용 임대주택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데 온 힘을 쏟기 바란다. 2년 전 국토부는 오는 2022년까지 공적주택 100만호를 공급한다는 로드맵을 내놨다. 계획대로라면 2022년 임대주택 재고율은 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회원국 평균(8%)을 웃돌게 된다. 분양가상한제는 공연히 부작용만 부를 공산이 크다. 서민을 중시하는 문재인정부라면 무주택자와 청년, 노년층을 위한 주거복지 정책에 주력하는 게 낫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