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기자수첩]2G 종료, 이제는 결단을 내릴 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SK텔레콤의 2세대(2G) 이동통신 종료 신고를 앞두고 반발이 지속되고 있다. 오랜 기간 '011'을 사용해서 변경하고 싶지 않은 이용자가 대부분이다. 011 이용자의 심정을 모르는 건 아니다.

그러나 2G를 종료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분명하다. 2G 휴대폰은 재난문자를 수신할 수 없어 2G 주 이용자인 장년·노령층이 재난 상황을 대비하지 못할 위험성이 상존한다.

단말 선택권도 전무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2014년 이후 2G 단말을 생산하지 않고 있다. 단말 노후에 따른 기기 문제가 발생해도 해결 방안이 없다.

종전과 같은 2G 서비스 보장도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SK텔레콤은 기지국 예비 장비와 부품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베트남 등 해외에서 장비 구입을 타진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2G 휴대폰 상당수가 '장롱폰'으로 방치되고 있다. 현재 2G 가입자 가운데 40% 이상이 사용하지 않거나 장기간 일시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 2G 이용자의 불편과 불이익 방지를 최우선해야 한다. 그렇다고 재난 피해 예방과 2G 종료를 통한 공공자원 활용을 간과해선 안 된다. 글로벌 이통사는 한정된 주파수의 효율 활용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2G를 종료하거나 3G 종료 계획까지 밝혔다. 미국 AT&T, 일본 NTT도코모와 소프트뱅크 등이 2G를 종료했다. 미국 버라이즌과 일본 KDDI은 3G 종료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 지원도 수반돼야 한다. 011을 유지하고 싶은 이용자가 번호 자원 통합 관리와 주파수의 효율 활용에 공감할 수 있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캠페인을 펼치거나 불만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대만은 모든 이통사가 2G, 3G를 종료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롱텀에벌루션(LTE) 전환 광고를 진행했다. 무료 상담 전화도 운영했다.

무엇보다 당사자인 SK텔레콤의 노력도 절실하다. 민원이 발생한다고 손놓지 말고 꾸준히 2G 종료 이후 대책을 안내해야 한다. LTE, 5G 등으로 전환할 때 이전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 또한 이해시켜야 한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