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하루 44조' 중국 광군제 vs 썰렁한 '코리아세일페스타'...이유는?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9년 광군제 매출액이 (1분 36초 만에) 백억 위안 (약 1조 6천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1분 36초에 약 1조 6천억 원, 하루에 44조 6천2백억 원!

중국 최대 전자 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어제 하루 거래금액입니다.

11월 11일, 우리나라에서는 빼빼로 데이라고 알려져 있죠.

중국은 이날을 광군제, 독신자의 날이라고 부릅니다.

숫자 1이 사람이 혼자 서 있는 모습과 비슷하다는 데 착안해서 1이 4개나 겹친 11월 11일을 '솔로 데이'로 만든 건데요.

한 대학교에서 애인이 없는 사람들끼리 서로 챙겨주고 위로하자고 만든 걸 알리바바가 빠르게 마케팅에 활용했습니다.

쇼핑을 통해 외로움을 달래야 한다면서 2009년부터 행사를 열었고 쇼핑의 날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제 다른 전자상거래 업체들도 함께 행사를 여는데 업계 2위 업체도 어제 하루 34조 원에 달하는 거래금액을 기록했습니다.

성공 비결! 일단 엄청 싸게 팔기 때문인데요.

싸게 팔 수 있는 요인, 먼저 대량으로 물건을 사들여서 일종의 재고 처리를 해주기 때문입니다.

알리바바와 같은 전자 상거래 업체가 4분의 3 정도의 물량을 업체로부터 먼저 구입합니다.

만들었는데 안 팔리면 어떻게 하느냐는 걱정을 없앨 수 있고, 마케팅 효과도 있으니 제조업체도 파격적인 가격에 물건을 내놓고 여기에 24개월 무이자 할부 등 마케팅이 더해지는 겁니다.

[주이룬 / 중국 대학원생 : (온라인으로 살) 물건을 저장해뒀어요. 어젯밤 11시까지 인터넷을 했고, 제 주변 친구들은 새벽 2시까지 물건을 사려고 기다렸어요.]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와 같은 기술도 접목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 시간에 이 고객은 이런 제품을 사고 싶어한다, 또 평소 구매 패턴으로 볼 때 이 제품에 관심이 있을 거다, 이렇게 구매를 유도하고요.

여기에 하루에 배송해야 할 상품만 12억9천2백만 개에 달하다 보니 물류시스템에는 로봇을 도입했습니다.

혹시 가짜가 아닐까 걱정하는 고객을 위해 위조품 방지에는 생체인식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해외 기업들도 이날은 대목입니다.

전 세계 84개 브랜드가 1억 위안, 우리 돈 166억 원 이상을 팔았는데 우리나라는 삼성전자와 LG 생활건강의 화장품 브랜드 후, 그리고 휠라가 포함됐습니다.

해외 직접 구매 순위에서 한국은 미국, 일본에 이어 3위를 차지했습니다.

물론 예년만 못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거래금액 증가율 때문인데요.

지난 2010년 무려 1,772%에 달했던 증가율은 2018년 26.9%까지 내려왔고 올해는 여기에서 1%포인트 정도 더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의 내수 규모를 무시할 수 없죠.

중국 당국도 이날을 '자국 마케팅'에 활용합니다.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우리가 이 정도 구매력이 있다는 걸 보여줘서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거죠.

관영 매체 환구시보도 "최대 규모의 쌍십일은 중국의 소비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지금 대규모 쇼핑 할인행사가 진행 중입니다.

'코리아 세일 페스타'라는 이름인데 지난 1일 시작해서 오는 22일까지 진행되지만, 소비자의 반응은 신통치 않습니다.

백화점 정기 세일과 차별성을 느끼기 어렵다, 민간 기업 주도의 외국에 비해 우리는 정부 주도라 참여도가 떨어진다는 등의 분석이 나오는데요.

무엇보다 제조사가 직접 재고를 처리하는 미국,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가 미리 물품을 사들이는 중국과 달리 우리는 백화점과 같은 유통업체가 제조업체 상품을 대신 팔아주는 수준에 그치는 점이 할인 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박광렬[parkkr0824@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유튜브에서 YTN 돌발영상 채널 구독하면 차량 거치대를 드려요!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