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KAMA "글로벌 車 판매 5.6%↓…한국차 경쟁력 높여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1~3분기 글로벌 주요 7개 시장 승용차 판매가 작년보다 5.6% 줄면서 3분기 감소 폭이 5.5%로 전 분기보다 0.6%포인트 확대됐다. 유연한 생산체계 구축과 노사 제도 개선 등 한국차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전자신문

자동차 수출을 위해 정박 중인 운반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7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미국·유럽연합(EU)·중국·인도·멕시코·브라질·러시아 주요 7개 시장 승용차 판매실적과 자동차산업 정책 동향을 담은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미국 시장은 대체 수요 소진, 판매 인센티브 축소에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픽업 판매 호조로 작년 동기보다 1.1% 감소에 그쳤다. EU도 전기동력차 판매 증가로 1.6% 감소하며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다.

그러나 중국과 인도는 경기 둔화와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자동차 판매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각각 11.5%, 16.4% 줄어 감소 폭이 커졌다. 멕시코는 정부 긴축 정책으로, 러시아는 부가가치세 인상으로 각각 7.4%, 2.0% 감소했다.

브랜드별 판매는 최대 시장 중국에서 선전한 유럽과 일본 브랜드는 평균보다 양호한 감소율을 기록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높아졌다. 중국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미국과 중국 브랜드 점유율은 정체되거나 감소했다.

반면 한국 브랜드는 미국과 EU 시장에서 SUV 신모델과 전기동력차 투입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감소율(2.9%↓)을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도 작년 1~3분기 7.3%에서 올해 7.5%로 상승했다.

아울러 주요국들은 미래차 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과 자동차 내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국내 자동차 공장은 주간 연속 2교대제, 주 52시간 제약과 전환배치 시 노조와의 사전합의 등으로 일부 신차의 경우 국내외 수요를 맞추지 못해 대기 고객이 증가하는 사례가 있다”면서 “모델 간 공장간 유연한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노사 협력과 관련 제도 개선 등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내수가 전반적인 국내 경기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고려해 올해 말 종료 예정인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노후 경유차 교체 지원을 앞으로도 지속 추진할 필요성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