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청년 없는 청년정치]“당협 운영비만 월 1000만원…감당할 수 있는 청년 있을까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년정치인 좌절시키는 ‘돈’

총선 후보자 기탁금 1500만원, 청년들에겐 넘기 힘든 허들

후원금 모금도 어려움 겪어

돈은 청년정치의 큰 장벽이다. 청년의 정치 진입을 막을 뿐 아니라 가까스로 진입한 청년들을 정치권 밖으로 다시 내몬다. 돈은 새로운 정치를 꿈꿔온 청년정치인들에게 기존 공식을 강요하기도 한다.

자유한국당 수도권 지역의 30대 청년 당협위원장인 ㄱ씨는 17일 인터뷰에서 “당협 운영만으로 빚더미에 올랐다고 말하는 청년위원장들이 많다”고 전했다. ㄱ씨는 “당협을 운영하는 데 자비만 최소 월 1000만원씩 든다. 이걸 감당할 수 있는 청년들이 얼마나 될까”라며 허탈해했다. 당협위원장들은 통상 지역구 사무실과 직원 1~2명 정도를 둔다. 사무실 임차료와 인건비로 1000만원가량 나간다. 지역구 활동을 알리기 위해 당원들에게 보내는 대량의 문자메시지 비용도 부담이다. ㄱ씨는 “문자메시지 비용만 100만원 안팎이 들어간다. 수백만원씩 지출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말했다.

1000만원이란 운영비는 그나마 ‘평시’ 기준이다. ‘당원 동원령’이라도 떨어지면, 비용은 수배로 늘어난다. 한국당은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여러 차례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부당성’이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 등을 주장하는 장외집회를 했다. ㄱ씨는 “먼 곳에서 당원들이 올라와야 하는 지역은 버스 대절비용과 식비 등으로 버스 한 대당 800만원까지 들어간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집회 치르면서 빚더미에 올랐다는 청년 당협위원장들도 있다”고 전했다.

당협위원장들은 그래도 당에 편입돼 직함을 얻은, 정치권에 이미 진입한 사례다. 돈은 청년정치인들을 좌절의 늪에 빠뜨린다. 후보자 기탁금부터 버거운 ‘허들’이 되는 것이다. 김소희 미래당 공동대표는 지방선거 출마 과정을 돌아보며 “기탁금만 1500만원이었다. 선거비용도 그만큼 들었다”며 “20~30대 친구들 중 3000만원 정도의 여윳돈을 가진 사람이 얼마나 되겠냐”고 반문했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창당준비위 대표는 “총선 기탁금은 1500만원이고, 시·도지사는 5000만원이다.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기탁금 문제는 헌법소원도 제기돼 있다. 한 달치 근로자 평균 월급 정도로 낮춰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 소속 한 청년정치인 ㄴ씨는 후원금 모금에도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ㄴ씨는 “젊다는 시선이 쏟아지면 후원금을 충분히 모금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후원금이 없어서 사무실도 못 내고, 이사한 집을 사무실로 내고 거기서 잠만 자면서 활동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박순봉·심진용 기자 gabgu@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