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계속된 식민주의, 계속된 군'위안부'제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귀옥 교수의 신간

김귀옥 교수의 신간 <그곳에 한국군'위안부'가 있었다>

(서울=연합뉴스) 임형두 기자 = 일제강점기가 남긴 큰 상처 중 하나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였다. 광복 70년이 넘었지만 그 후유증은 가라앉지 않은 채 현재진행형이다.

군'위안부' 제도는 일제시기에 국한됐을까? 안타깝게도 그렇지 않다. 일본군'위안부' 제도는 한국군'위안부' 제도로, 미군'위안부' 제도로 이어졌다.

김귀옥 한성대 사회학과 교수는 신간 <그곳에 한국군'위안부'가 있었다>로 그 아픈 역사를 드러낸다. 잊힌 사회적 기억을 소환하며 진정한 역사청산과 치유를 역설한다.

저자에 따르면 일본군'위안부'제도에 영향을 받은 한국인들은 해방 후 그 제도가 얼마나 문제가 있고 반인권적·반평화적인가를 깨달을 기회가 없었다.

그런 상태에서 친일·친미적 정부가 이끄는 대로 반공주의를 애국주의로 내면화하며 분단국가의 시민이 돼야 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한국전쟁에서는 적에 대한 분노를 동족에게 마구 표출했다.

그 표출 수단이나 방법의 원천이 바로 일제 식민주의였다. 식민주의에 길든 친일파 군인들과 친일 세력은 일제가 가르쳐준 군'위안부'제도를 그대로 가져왔다. 이게 한국군에게는 한국군'위안부'제도가 되고, 미군에게는 미군'위안부'제도가 됐다. 이른바 '기지촌여성', '양공주', '양갈보' 등이 바로 그들의 이름이었다.

저자는 "그 제도를 도입했던 한국군 장성들과 이승만 정부는 부끄러움을 몰랐다"고 비판한다. 그것이 동족을 무자비하게 살상해야 했던 군인들을 회유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할 만큼 한국 지배집단의 인식은 매우 저열했다. 이런 인식을 형성한 게 바로 일제가 주도한 전쟁의식이자 일본군'위안부'제도였다.

저자가 한국군'위안부'제도를 처음 안 것은 1996년이었다고 한다. 한국전쟁이 터지며 다시 모습을 드러낸 군'위안부'제도는 1954년 3월 표면상으로 폐지될 때까지 4년 동안 버젓이 그 잔혹한 행적을 남겼다. 하지만 사회적으로는 완전히 침묵됐다.

한국군'위안부'제도가 최초로 공개된 건 2002년. 김 교수는 한 학술대회에서 이 문제를 공식 제기했다. 하지만 한국군'위안부' 문제 제기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왜곡시키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의 기색이 명확했다고 한다. 이후 오랫동안 단행본 발간을 망설인 까닭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저자는 "스스로 잘못이나 치부를 드러낸다는 것은 과거를 잊지 않겠다는 의지이며, 다시는 과오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교훈이자 각오의 표출이다. 늦었지만 정부는 한국전쟁 당시의 사실을 인정하고 피해 여성들에게 사과하며 적절히 배상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같은 노력이 결국은 일본 정부에 의해 왜곡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바로 잡고, 역사적 진정성 있는 사과와 실효성 있는 배상, 진정한 과거청산을 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얘기다.

도서출판 선인. 275쪽. 1만9천원.

연합뉴스

그곳에 한국군 '위안부'가 있었다



id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