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남·북·러, 이순신 장군 ‘북방유적’ 첫 발굴 나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는 북한·러시아와 함께 이순신 장군의 활약 무대 중 하나인 ‘나선·녹둔도’ 북방 유적을 발굴한다고 8일 밝혔다.

발굴에는 서울시가 지원하는 (사)남북역사학자협의회가, 북측에선 우리의 문화재청과 같은 역할을 하는 ‘민족유산보호지도국’이 참여한다. 러시아 측에선 극동연방대학과 러시아군사역사협회가 함께한다.

이들 기관과 단체는 현재 러시아 영토인 연해주 하산군 옛 녹둔도와 북한 함경북도 나선특별시 일대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순신 장군의 북방 유적을 공동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녹둔도로 추정되는 지역이 이미 혹한기에 접어든 탓에 본격 조사는 내년 3월쯤부터 착수할 예정이다.

경향신문

이순신 장군의 녹둔도 전투 모습을 그린 ‘수책거적도’. 수책거적도는 조선중기때 발간된 ‘북관유적도첩’의 한 장으로 녹둔도 둔전관 이순신과 병사들이 녹둔도에서 목책을 방어하며 여진족과 전투를 벌이는 그림으로 고려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녹둔도 추정 지역.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대동여지도에 표시된 녹둔도. 서울시 제공


이순신은 임진왜란 전인 1587년(42세) 조산보(현 나선시) 만호 겸 녹둔도 둔전관으로 부임했다. 명·청 교체기를 맞아 세력이 강성해진 여진족의 침략에 맞섰고 ‘녹둔도 전투’(1587년)에서 대승한 기록이 있다.

녹둔도는 세종 때 6진 개척으로 조선 영토로 편입됐으나 두만강 퇴적 작용으로 연해주에 연결돼 육지화됐다. 1860년 청·러 베이징조약으로 연해주와 함께 러시아 영토로 편입됐다.

현재 나선시에는 1882년 지방관이 건립한 이순신 공적비인 ‘승전대비’와 이순신 사령부가 있던 조산진성이 존재한다. 옛 녹둔도 지역에는 녹둔도 전투의 현장인 녹둔토성이 있다는 기록이 <동국여지승람>, <고종실록> 등 여러 고문서에 남아 있다.

경향신문

러시아 조사단의 사전조사에서 발굴된 연자방아. 서울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본격 발굴에 앞서 남측과 북측, 러시아 측이 참여하는 사전조사와 현장답사, 국제학술회의를 마쳤다고 밝혔다. 현재 남북교류가 답보 상태에 놓여있는 상황을 감안해 ‘한·러분과’와 ‘북·러분과’로 구분해 진행됐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1일과 6일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나선·녹둔도 이순신 장군 유적 조사 국제학술회의’에서는 이번 조사가 성웅 이순신의 알려지지 않은 일대기를 조명하고, 남북관계 개선 시 ‘경협 재개 1호 사업’으로 꼽히는 ‘나진·하산 프로젝트’의 문화인프라 조성 차원에서 의미가 깊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학술회의에서는 러시아 측이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실시한 사전조사 사진과 조선시대 백자 조각 등 출토 유물들이 함께 전시됐다. 우리 측에서는 출토 유물 전체를 3차원으로 스캔해 내년 발굴조사 착수 전까지 국내 조선시대 유물들과의 비교·분석을 마치기로 했다. 실제로 당시 유물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현장답사는 한·러, 북·러 분과별로 지난 2~4일 진행됐다. 각각 고종 때 연해주 지역 조선인 실태를 조사해 작성한 지도 ‘아국여지도’를 들고 조선인 부락 흔적을 찾는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아국여지도상의 조선인 마을 흔적을 다수 확인했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서울시는 내년 발굴 결과에 따라 중장기적으로는 정부, 러시아 등과 협의해 나선·녹둔도의 이순신 장군 북방 유적을 역사문화 유적지로 보존·관리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황방열 서울시 남북협력추진단장은 “대내외 정세가 개선돼 빠른 시일 내에 남북이 공동으로 나선과 녹둔도를 자유롭게 드나들며 발굴조사를 추진하는 날이 오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고영득 기자 godo@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