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藥한 뉴스]다사다난했던 2019년 K바이오... 배운 점과 배울 점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최근 몇 년간 제약바이오산업이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으며 많은 투자도 함께 이뤄졌습니다. 올 초만 해도 2019년은 K바이오가 강국으로 올라서는 원년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많았습니다. 기술수출이 이어졌고, 임상 3상도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던 만큼 바이오시밀러 뿐 아니라 블록버스터 의약품 탄생도 ‘시간 문제’라는 이야기였습니다. 과도한 자신감이었을까요. 올 한해 K바이오는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습니다. 인보사 사태부터 신라젠, 헬릭스미스 쇼크에 기술 수출 반환까지 이어지며 ‘여기까지인 것 아닌가’라는 회의적인 분석이 시장에서 돌았습니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실패할 수 있는 것 역시 성장의 한 과정이라고 강조합니다. 애초 신약 개발은 100번 이상 실패해야 한 번 성공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성공에 대한 달콤한 과실이 함께 하는 것이고요. 실패를 하려면 도전을 해 봐야 합니다. 그 동안 우리나라 제약바이오산업에서는 도전 그 자체가 부족하다는 평이 많았습니다. 실패를 용인할 수 있는 분위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상 3상 시험에는 수백명에서 천 명 이상의 연구 인력이 필요합니다. 금액도 3,000억원 이상 필요하고요. 자체 연구 인력 뿐 아니라 각 병원에서 진행 중인 임상 시험을 관리하기 위한 인력도 필요합니다. 즉 시험 설계, 현장 관리, 데이터 분석, 서류 작성을 총괄할 컨트롤 타워가 필요한데, 국내 기업 중 이런 경험을 가진 사람은 극히 드뭅니다. 제약바이오를 전공해 글로벌 제약사에서 직접 임상시험을 수행해 보고, 실패도 해본 인력을 찾아야 하는데, 쉽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초기 임상 시험이 아닌 임상 3상 시험을 수행해 본 경험자는 극히 드뭅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바티스 스위스 본사에서 실제로 임상 시험을 수행해 본 권명옥 박사는 몇 안되는 경험자 중 한 명입니다. 그는 노바티스에서 배운 것 중 K바이오가 가장 귀기울여야 할 부분으로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되지 않는 물질을 포기할 줄 아는 법”을 꼽았습니다. 아울러 한국 바이오산업이 발달하기 위해 싱가포르의 사례를 들며 외국계 제약사의 영업, 마케팅 본부 뿐 아니라 중요하지 않은 신약이라도 연구소를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비록 은퇴를 앞둔 과학자들이 아시아로 파견되겠지만, 신약 개발 프로세스는 비슷한 만큼 이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며 노하우를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입니다. 아울러 국내 대형병원에서 외국계 제약사의 임상시험을 많이 진행해야 하는 점도 꼽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임상시험을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습득할 수 있다고 권 박사는 내다봤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약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잇따릅니다. 우리나라의 바이오벤처 기업 대부분은 수익 구조가 취약합니다. 신약 개발에 나서는 벤처가 수익구조가 굳이 탄탄할 이유는 없지만 이 때문에 신약개발에 실패했을 경우 회사의 존립조차 위태롭게 되고, 투자했던 개인 투자자들이 막대한 손해를 입는 만큼 이를 정확하게 지적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벤처에 일반 개인 투자자들의 비중이 높은 만큼 이들에게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전문가의 필요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임상 시험에 실패한 모 기업의 연관 검색어에는 ‘이혼’과 같은 부정적인 검색어가 나타납니다. K바이오에 희망을 걸고 투자를 진행했던 개인 투자자들이 무슨 죄가 있다고 이런 시련을 겪어야 할까요. IT, 조선, 철강 등 기존 산업과 달리 바이오는 새로 육성하는 사업인 만큼 전문가들 중 바이오를 전공했던 사람이 부족합니다. 증권사 리포트도 잘 안 나옵니다. 업계가 좁다 보니 학교, 회사 등에서 이미 친분을 쌓은 경우가 많고 서로 너무 잘 알아 전문가들도 쉽사리 특정 기업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연구개발 비용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얀센은 13조원, 애브비는 12조원, 머크는 11조원, 노바티스는 10조원을 R&D에 투입했습니다. 그야말로 쏟아 넣은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제약바이오시장 전체 규모가 약 22조원이고, 국내 제약사 중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리는 유한양행의 지난해 매출이 1조5,000억원입니다. 아직은 실패하는 게 당연할 수도 있는 이유입니다. 다른 산업에 비해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은 국내총생산(GDP) 10위권이라는 경제 규모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잇따릅니다. 올해 실패를 성장통 삼아 더욱 성장하는 K바이오를 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우영탁기자 ta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