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지난해 국내총소득 외환위기 후 첫 감소…올해 민간소비에 영향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 지난해 반도체 수출단가 하락 등으로 경제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 총계인 국내총소득(GDI)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 감소해 올해 민간소비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그만큼 감소해 소비여력을 위축시킬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27일 한국은행의 ‘2019년 국내총생산’ 속보치를 보면 지난해 실질 GDI는 반도체 가격 하락 등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전년대비 0.4% 감소했다. GDI가 감소한 것은 외환위기의 한파가 몰아쳤던 지난 1998년(-7.0%) 이후 21년만에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도 0.1% 증가해 거의 제자리걸음했지만 마이너스를 기록하지는 않았고, 2009년에는 2.6%의 증가세를 보였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질 GDI는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 6.9%의 큰폭 증가세를 보인 이후 1~4%대의 증가세를 지속하다 2015년에 6.5% 증가하며 다시 피크를 보였다. 이후 2016년 4.4%, 2017년 3.3%, 2018년 1.4% 증가해 완만하게 둔화되다 지난해 소폭이나마 21년만에 다시 마이너스를 보인 것이다.

실질 GDI는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실질적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지난해 GDI가 감소한 것은 반도체 단가 하락 등 실질 무역손익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이 1844조원으로 전년대비 2.0% 증가했지만, 실질 무역손실이 40조3000억원에 달하면서 실질 GDI가 1803조7000억원으로 전년(1811조원)에 비해 0.4%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반도체 가격은 8기가 D램을 기준으로 3.7달러에 머물며 전년(7.9달러)보다 53.5%나 하락했고, 반도체 수출 물가지수는 27.1% 하락했다. 반도체 가격 하락은 지난해 전체 수출 물가지수를 3.3% 하락시키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등 비중이 컸기 때문이다. 반면에 수입 물가지수는 0.8% 올라 대규모 무역손실이 발생했다는 설명이다.

실질 GDI가 감소함에 따라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도 소폭 감소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기업의 수익 및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감소시켜 올해 민간소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많다. 정부가 다양한 소비촉진책을 구사하더라도 소비의 원천인 소득이 뒷받침되지 못하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민간소비는 1.9% 증가하는 데 머물러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2.8% 증가했던 것에 비해 증가세가 큰폭 둔화됐다. 그럼에도 기업들의 설비투자(-8.1%)와 건설투자(-3.3%)가 크게 위축된 상태에서 정부소비(6.5%)와 함께 국내경제를 떠받치는 중요한 버팀목 역학을 했다.

정부와 경제 연구기관들은 올해 반도체 단가가 상승세로 돌아서는 등 전반적인 교역조건이 지난해보다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올해 GDI도 지난해 마이너스에서 벗어날 전망이지만, 지난해 실질소득 감소의 영향을 얼마나 신속히 만회하느냐가 중요 과제가 될 전망이다.

hjle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