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신종 코로나 확산 속 'ICT 방어막' 주목 "국제 공조가 필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질본, 이통3사 로밍 데이터 추적해 감염자 이동경로 파악 KT 'GEPP'로 글로벌 감염병 예방 체계 제안… "중국 서비스는 아직"

중국 우한 지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이 전세계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한 전염병 방지 대책이 주목받고 있다. 다만 한 기업 또는 국가의 노력으로는 전세계적인 감염병을 방지하기 어려운 만큼 국제 공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7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는 이통3사로부터 중국 입국 로밍정보를 제공받아 신종 코로나 능동감시 대상자 추적에 활용 중이다. 질본은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의 입국 로밍 데이터를 이용해 중국 입국자들과 감염자들의 경로를 파악하고 있다.

전염병 확산 지역 입국자들을 관리하는 데 로밍 데이터를 활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질본은 지난 2015년 1차 메르스(MERS) 사태와 2018년 2차 메르스 사태 때도 이통사로부터 로밍 정보를 제공받은 바 있다.

그러나 로밍 데이터를 통한 추적에는 한계가 있다. 국내 이통3사로부터 협조를 받아 중국에 방문한 후 입국하는 한국인들의 정보는 확인할 수 있지만 외국인들이 중국을 거쳐 한국에 입국하는 경우는 추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로밍을 하지 않고 현지 유심(USIM)을 사용한 경우는 추적이 어렵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이동통신업계에서는 보다 정확한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국제적인 공조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가장 적극적인 곳이 KT다. KT는 지난 2016년 'GEPP(Global Epidemic Prevention Platform, 감염병 확산방지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GEPP는 통신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여행자 이동경로와 감염병 정보를 보건당국과 개인에게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GEPP를 이용하면 이통사의 로밍 데이터를 확인해 감염병 우려 지역을 다녀온 여행객을 추적하고 감염병 예방법을 문자로 보내 확산을 방지한다.

황창규 KT 회장은 지난 2016년 UN 총회에서 GEPP 프로젝트를 소개했으며, 2018년에는 다보스포럼에서도 전세계 국가에 GEPP를 제안했다. 현재 GEPP 서비스를 출시한 국가는 아프리카의 케냐, 가나, 동남아시아의 라오스 등이다.

ICT 기술은 사람 간의 전염병 뿐만 아니라 가축 전염병 확산 방지에도 이용 가능하다. 황창규 회장은 지난 2019년 6월에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기조연설에서 "인간과 동물의 감염병으로 인한 비용이 연간 600억달러(약 71조원)에 달한다"며 가축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는 국제적 협력 체계를 갖출 것을 제안했다.

KT는 이미 2016년부터 농림축산검역본부와 5만여대의 축산 차량의 GPS를 분석하는 '동물감염병 방역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구축한 상태다.

이번에 전염병이 시작된 중국에서는 GEPP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KT 관계자는 "한국 국민의 경우 중국에 다녀온 사람은 모니터링되고 있으며 감염자 동선도 파악 가능하다"며 "중국에 GEPP가 제공되지 못해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다현 기자 chdh0729@ajunews.com

최다현 chdh0729@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