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과학&미래] 우한폐렴 백신 시판까지 짧아도 수년…돌연변이 많아 난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바이러스 염기서열 공개

연구개발용 자금조달도 시작돼

홍콩선 “백신 개발 성공” 주장

당장 감염자에게 투여할 순 없어

중앙일보

우한으로 떠나는 중국 의료진(왼쪽)이 28일 가족과 작별인사를 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우한 폐렴) 감염에 대항할 백신은 언제쯤 만들어질 수 있을까. 백신 시판까지는 아무리 짧아도 수년이 걸린다. 일단 1차 시험에 적합한 동물을 찾아야 한다. 임상시험에 자원할 사람도 모집해야 한다. 여기까지 최소 1년은 걸린다. 이후 보건 당국의 승인 절차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중국·호주 등의 연구진은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에 나섰다. 중국 연구진은 지난 10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확인해 다른 나라 연구진도 볼 수 있게 공개했다. DNA 차원에서 바이러스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이다. 환자에게 채취한 바이러스 샘플이 없더라도 이 유전자 코드를 활용하면 백신 개발에 착수할 수 있다.

백신의 연구개발(R&D)을 위한 자금 조달도 시작됐다. 노르웨이에 본부를 둔 공공·민간 공동기구인 전염병예방혁신연합(CEPI)은 지난 23일 백신 개발에 1250만 달러(약 147억원)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와 호주 퀸즐랜드대 등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안토니 파우시 NIAID 이사는 “3개월 안에 초기 임상 1단계를 진행할 수 있을 만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백신 개발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곳도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유엔궉융 홍콩대 의대 교수팀이다. 이들은 인플루엔자 백신의 항체 구조를 일부 변형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을 인식할 수 있게 바꾸는 방식으로 백신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당장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바이러스 감염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2014년 대규모 감염을 일으킨 에볼라 바이러스의 백신은 지난해 12월에야 미국 식품의약처(FDA)의 승인을 받았다. 최초 임상시험에 성공한 지 5년이 지나서다. NIAID는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임상시험 단계까지 백신 개발을 진행했다. 하지만 사스 사태가 진정되면서 백신 개발에 대한 관심이 시들해져 상업화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백신이 임상시험을 통과해 제조사가 생산을 확대할 때쯤엔 이미 늦었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DNA가 아닌 리보핵산(RNA) 계열 바이러스에 속한 것도 백신 개발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RNA 바이러스는 수를 늘리기 위해 유전 정보를 빠르게 변화시켜 복제한다. 그 때문에 돌연변이가 잘 일어난다. 백신을 개발해도 변이가 일어나는 시점에선 이미 소용이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RNA는 변이가 쉽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백신을 만들기 어렵다”며 “대표적인 RNA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독감)의 경우 비교적 백신을 만들기 쉬운 구조지만 유행하는 시기에 맞춰 백신을 생산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