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치료제 없는 ‘코로나19’… 면역력을 높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보는 면역체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가운데 완치돼 퇴원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지금까지 9명이 면역력으로 병을 이겨냈다. 8명은 퇴원했고 1명은 퇴원 예정이다. 남은 환자도 대체로 상태가 안정적이어서 조만간 퇴원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별다른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가운데 퇴원 환자가 늘어나는 것은 몸의 면역체계 때문”이라고 말한다.

동아일보

우리 몸은 외부 병원체에 대한 면역력을 가지고 있지만 코로나 19의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바이러스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평균 서울대학교 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는 손 소독만 잘하면 감염 우려가 적다 고 말했다. 사지은 병원 내부에서 방문자 발열 여부를 검사하고 있는 모습. 서울대병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 치료제 없어 면역력으로 극복

퇴원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6.9세다. 이들 중 최고령자는 8번 환자(63·여)이고 최연소는 11번 환자(25·남)였다. 확진일부터 퇴원일까지 평균 입원기간은 13.1일. 17번 환자(38·남)가 8일로 가장 짧았고 3번 환자(54·남)가 18일로 가장 길었다. 호흡곤란으로 산소공급 치료를 받았던 환자가 있었던 반면 입원 내내 발열 등 가벼운 증상만 나타난 환자도 있는 등 증상도 천차만별이었다.

오한진 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감기도 건강한 사람은 가볍게 앓고 지나가지만 합병증 등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퇴원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치료에 영향을 미칠 만한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이 없었다는 점이다.

코로나19는 아직 치료제가 없다. 완치자들은 모두 면역력으로 병을 이겨냈다. 이들은 증상을 완화하는 ‘대증요법’으로 치료를 받았다. 발열이 있으면 해열제를, 근육통이 있으면 진통·소염제를 처방받는 식이다. ‘항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에이즈 치료제인 ‘칼레트라’를 복용한 환자도 있다. 완치돼 퇴원하는 확진자는 앞으로 계속 나올 것으로 보인다.

면역은 우리 몸을 지켜주는 방패

우리는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미생물을 접하면서 살아간다. 컴퓨터 키보드, 버스 손잡이, 옷이나 머리카락에도 많은 미생물이 붙어 있다. 그러다가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몸속에 들어오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두 병에 걸리지는 않는다. 우리 몸에는 스스로를 보호하는 강한 방어체계, ‘면역’이 있기 때문이다.

면역에는 두 가지가 있다. 선천적으로 획득한 면역과 경험을 통해서 기억된 병원체와 싸울 수 있는 면역이다.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면역은 처음 보는 병원균과 싸울 수 있다. 반면에 예방접종이나 죽은 균을 몸 안에 주입하면 균의 특성을 기억하고 있다가 같은 병원체가 들어오면 싸울 수 있게 된다.

면역세포는 NK세포(Natural Killer cell·자연살해세포), 수지상세포, 백혈구, 마크로파지 등이 있다. 이 세포들이 많을수록 병원균과 잘 싸워 이길 수 있다. 같은 상황에서도 누구는 감기에 걸리고 누구는 걸리지 않는 이유다. 흔히 “면역력이 떨어졌다”고 말한다. 그럼 면역력을 측정할 수 있을까. 오 교수는 “NK세포의 파워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지만 완벽하지 않다”며 “면역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고 말했다.

개인 면역력에 따라 증상과 결과 천차만별

코로나19는 리보핵산(RNA) 바이러스로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병원균에서 모양을 바꿔 나타난 바이러스다. 특히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킨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감기를 겪어봤기 때문에 어느 정도 면역력은 있었지만 형태와 성질이 전혀 달라 쉽게 감염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감염자라고 해도 증상의 경중은 다르다. 여러 가지 질병에 조금씩 노출돼 면역력이 높은 사람이나 체력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약하게 겪고 지나가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대응 능력이 떨어진다. 면역력은 이렇게 감염 여부부터 생사의 차이까지 달라지게 만든다.

오 교수는 “스트레스는 나를 괴롭히는 모든 것”이라며 “스트레스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어 되도록이면 덜 겪거나 빨리 회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 건강은 면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만성염증이나 비만, 고지혈증도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잠을 잘 자고 정서적 안정을 취해야 한다.

▼ 코로나19 진단은 어떻게
실시간유전자 증폭검사로 6시간 뒤 감염 여부 확인

동아일보

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에서 한 연구원이 ‘실시간유전자증폭(RT-PCR)’ 검사를 하고 있다. 동아일보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은 어떻게 할까. 최근 6시간 만에 진단된다는 진단키트가 민간 병원에까지 보급되면서 감염병 진단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말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 바이러스가 감염자의 몸 안에 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온 몸에 퍼져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호흡기 감염자의 경우 대부분 콧물과 침, 가래를 검사한다.

그런데 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검체에서 바로 바이러스를 관찰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는데 코로나19의 경우는 검체에서 바이러스의 유전물질(DNA나 RNA)을 검사하는 것이 현재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유전물질의 크기가 바이러스보다도 작기 때문에 이런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유전물질의 양을 늘려야 한다.

유전물질을 증폭시켜 특정 바이러스가 갖고 있는 유전물질이 검출된다면 검체에 특정 바이러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감염자인 것이다. 이것을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법’이라고 한다. 기존에는 PCR 검사로 검체에 코로나바이러스가 존재하는지 1차 확인 후, 추가로 검출된 코로나바이러스가 이미 알려진 종류인지 아니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두 단계를 거쳐야 했기 때문에 기존의 검사는 24시간이 꼬박 걸렸다.

새로이 민간에 보급된 진단키트는 이보다 응용된 기술을 사용한다. 이 방법의 이름은 ‘실시간유전자 증폭검사(Real-time PCR)’다. 이 검사에서는 ‘프로브’라는 특수 제작한 물질을 이용하는데 이 물질은 코로나19만이 가지고 있는 유전물질이 한 번 증폭될 때마다 형광을 나타낸다. 따라서 증폭 과정이 끝났을 때 검체에서 어느 정도 이상의 형광량이 검출되면 검체에 바이러스 유전물질이 존재한다는 의미로 추가 검사가 필요 없다. 검사 결과는 6시간 정도면 알 수 있다.

PCR 검사는 검체에 바이러스가 있는지 비교적 정확히 검사하지만 감염 초기에는 검체에 바이러스의 양이 적으면 음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의심군에서 검사가 음성이 나오더라도 증상이 있으면 며칠 후 다시 검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김동하 인턴기자 고려대 의대 본과 4학년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