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한국 경제성장률·잠재성장률 하락 속도 가팔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01~2019년 OECD 내 GDP 하락 5위, 잠재성장률 하락 8위

잠재성장률에도 못 미치는 성장률…GDP갭 7년째 마이너스

“생산성 향상과 과감한 규제개혁 통한 성장 엔진 재점화 시급”

[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한국의 경제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이 2001년 이후 급감하며 동반하락세를 보였다. 경제성장률은 2010년 이후 하락세가 심화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성장률 하락이 5번째로 컸다. 잠재성장률도 2001년 이후 3분의 2수준으로 떨어지며 2018년부터는 2%대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9일 OECD 자료를 이용해 2001년부터 2019년까지 OECD 국가들의 경제성장률, 잠재성장률, 국내총생산(GDP) 갭률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한국 경제의 꺼져가는 엔진을 되살리기 위해 생산성 향상과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00년대 초반 평균 5%대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던 한국 경제는 최근 2%대의 낮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평균 5.0%(2001~2005년)에서 2.7%(2016~2019년)로 빠르게 하락했다. 같은 기간 OECD 국가 중 라트비아(-5.1%p), 리투아니아(-4.1%p), 에스토니아(-3.3%p), 그리스(-2.7%p) 다음으로 성장률 하락폭이 컸다.

OECD 평균 대비 2.7%포인트(p) 이상 높은 성장을 기록하던 한국의 성장률은 2010년 이후 차이가 1.2%p(2011~2015년)로 줄었고, 2016년 이후에는 0.6%p(2016~2019년)로 추락했다. 세계 경제 성장률과의 격차도 2011년 이후부터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0.4p(2011~2015년)에서 -0.6%p(2016~2019년)로 점차 확대됐다.

한경연은 200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한국의 성장률 하락폭이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해서도 눈에 띈다고 지적했다. 특히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가 넘는 OECD 회원국 23개 국가 중에서 성장률 낙폭이 가장 컸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잠재성장률도 4.7%(2001~2005년)에서 3.0%(2016년~2019년)로 3분의 2수준으로 내려앉으며 OECD 국가 중 8번째로 하락 속도가 빨랐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1.7%p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OECD 평균 잠재성장률은 0.4%p 하락했다. 연간으로는 2001년 5.4%에 달하던 잠재성장률이 2019년에 2.7%로 18년 만에 절반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보다 잠재성장률이 더 하락한 국가는 에스토니아(-3.2%p), 핀란드(-1.7%p), 그리스(-3.0%p), 라트비아(-3.3%p), 리투아니아(-3.5%p), 슬로바키아(-2.4%p), 스페인(-2.4%p) 7개국이었다. 독일(0.8%p), 덴마크(0.3%p), 아일랜드(0.7%p), 이스라엘(0.0%p), 멕시코(0.2%p), 터키(1.6%p) 6개국의 잠재성장률은 오히려 올랐다.

잠재성장률은 모든 생산요소를 최대한 활용해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달성할 수 있는 최대한의 성장치다. 한국은 잠재성장률의 하락폭이 크다는 것은 성장 잠재력이 그만큼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 GDP와 잠재 GDP의 격차를 나타내는 GDP갭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그 차이도 -0.1%(2011~2015년)에서 -1.4%(2016~2019년)로 커졌다. GDP갭률은 실제 GDP와 잠재 GDP간 차이를 잠재 GDP로 나눈 비율로, GDP갭이 마이너스를 기록한다는 것은 우리 경제가 잠재 GDP에도 못 미칠 만큼 활력을 잃고 있다는 뜻이다.

연간으로는 2013년 이후 최근 7년째 실제 GDP가 잠재 GDP를 밑돌았으며, 그 폭도 점차 커지는 추세다. 2019년 한국의 GDP갭률은 -2.1%로 그리스(-10.1%), 칠레(-3.8%), 멕시코(-3.0%), 이탈리아(-2.3%) 다음으로 잠재 성장과 실제 성장 간 차이가 컸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올해부터 시작되는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인구절벽이 현실화되면서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이 더욱 가시화될 전망”이라며 “하락하는 성장 속도를 늦추기 위해 생산성 향상과 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한 신산업 육성, 고부가 서비스 창출로 경제 역동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