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코로나·부채·무역전쟁·홍콩민주화…중국 경제 4중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IMF, 중국 성장률 5.6%로 하향

미국 언론 “빚더미 위 성장한 중국

코로나가 경제붕괴 촉매제 될 것”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빚더미 위에서 성장한 중국 경제 붕괴의 촉매제(catalyst)가 될 것이다.”

미국 시사주간 비즈니스위크가 최신호에서 이렇게 경고했다. 2008년과 2012년 두 차례 미국발 금융 위기와 유럽발 재정 위기를 가까스로 견뎌온 중국의 위태로운(fragile) 경제가 이번에는 버티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통화기금(IMF)도 22일(현지시간) 올해 중국 성장률을 5.6%로, 지난달 발표한 6.0%보다 0.4%포인트 낮춰 잡았다. 중국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면 한국은 1년 뒤 0.5%포인트 하락한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로 중국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중국 경제를 옥죄는 네 가지 리스크를 분석했다.

중앙일보

중국 경제성장률 추이.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선 코로나19라는 ‘블랙스완(black swan·예상하지 못한 돌출 사건)’이다. 시민들이 집밖에 나서지 않자 내수는 꽁꽁 얼어붙었고, 노동자가 복귀하지 못해 생산 설비가 마비됐다. 이에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일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0.1%포인트 인하해 4.05%로 고시했다. “대담하게 온건한 통화정책의 유연성을 강화할 것”이라며 추가 조치 가능성도 시사했다.

두 번째는 중국이 이미 지난해부터 미·중 무역 전쟁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감세, 인프라 투자 등 강도 높은 경기부양 정책으로 이미 막대한 채무를 쌓았다는 사실이다. 중국사회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45.4%로 전년 말보다 6.1%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부채 비율도 55.8%로 전년보다 3.7%포인트 증가했다.

중국사회과학원은 올해 말 중국의 총부채 비율은 최대 10%포인트 급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앙일보

중국 국가부채.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지방 정부의 재정 사정에 큰 악재다. 블룸버그통신은 “대다수 중국 지방 정부들이 경제둔화에 따른 세수 감소로 올해 재정수입 증가율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예산을 편성했는데 코로나19 방역과 피해복구에 추가 비용이 들어가 재정난이 가중될 것”이라고 전했다.

셋째, 모처럼 성사된 미·중 1단계 무역합의가 시작도 하기 전에 암초에 부딪힌 상황이다. 중국 경기가 둔화하고, 부채가 늘어나면, 미국과 약속한 농산물 수입 할당량을 채우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합의가 취소되고 또다시 양국의 무역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 중국은 미국이 봐주길 바라는 눈치지만,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둔 도널드 트럼프 입장에서는 올 상반기 뚜렷한 경제 성과를 보여줘야 하므로 중국에 관대해지기 어렵다.

마지막 리스크는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로 촉발된 홍콩 민주화 시위다. 지난해 홍콩 경제를 마비시킨 민주화 시위는 코로나19로 새로운 동력을 얻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홍콩 시민들은 당국이 중국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코로나19를 막기 위한 충분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고 전했다.

수개월째 지속한 민주화 시위로 홍콩의 ‘아시아 금융허브’ 지위는 흔들리고 있다. 홍콩 계좌의 자금은 빠져나가고, 홍콩 증시에 상장하려는 기업도 뜸해졌다. 홍콩이 흔들릴 경우 중국 경제에 미치는 타격은 불가피하다. 홍콩이 중국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핵심적인 관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런 우려 때문에 중국은 홍콩 시위대를 강경 진압할 수 없다”고 전했다.

배정원 기자 bae.jungw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