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한전, 작년 1조3566억 적자…금융위기 이후 최악(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 판매량 감소에 정책비용 등 늘어난 탓

올해 실적개선 전망하나 흑자전환은 불투명

뉴스1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관리인이 전기 계량기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뉴스1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한종수 기자 = 한국전력공사가 2년 연속 영업손실을 내면서 2008년 이후 11년 만에 최악의 적자를 기록했다. 원전 이용률 상승과 유가 하락에도 전력 판매량 감소와 각종 정책비용 부담이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한전은 2019년 연결기준 59조928억원 매출에 1조356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60조6276억원에 비해 2.5% 줄었고, 영업손실 역시 전년에 기록한 2080억원 적자보다 1조1486억원 더 늘었다.

지난 2014년 5조7875억원, 2015년 11조3467억원, 2016년 12조16억원, 2017년 4조9532억원 등 흑자 행진을 이어오다가 2년 연속 적자 수렁에 빠진 것이다.

작년 적자 폭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때 기록한 최악의 영업손실(-2조7981억원)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다.

한전은 "원전 이용률 상승과 유가 하락에도 전력 판매량 감소 및 설비투자 증가, 배출권 무상할당량 축소, 미세먼지 대책 등이 적자의 주요 원인이다"고 밝혔다.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전력판매 감소로 지목된다. 전년과 달리 따뜻한 겨울 날씨와 폭염 없는 여름 날씨로 인해 냉난방 수요가 줄면서 재작년 60조원대였던 매출은 작년 59조원대로 감소했다.

또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시행한 겨울~봄 석탄발전소 가동 중지 및 상한 제약이 석탄 이용률(74.7%→70.7%)을 떨어뜨린 것도 실적 악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줬다.

전력산업 운영을 위한 필수비용인 발전회사 온실가스 배출권비용과 전력설비 투자로 인한 감가상각비·수선유지비 등이 전년 대비 2조원 증가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인건비 증가와 퇴직급여 등 5000억원의 비용 상승과 함께 방사성폐기물 관리비, 원전 해체 비용 단가 상승 등에 따른 원전 관련 복구 부채 설정비용 2000억원이 증가한 것도 악재가 됐다.

이런 요인들이 원전 이용률 증가와 유가 하락에도 최악 실적으로 나타난 것이다. 다만 재작년 영업손실이 전년 대비 5조원 이상 커진 것에 비하면 작년 적자폭은 1조원대로 완화됐다.

한전은 올해 경영환경은 다소 개선될 것으로 봤다. 원전이용률이 2018년 65.9%에서 작년 70.6%로 늘었고, 올해는 70% 중반대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국제유가를 비롯한 연료가격 하락 추세와 불필요한 특례할인 폐지 등의 정책비용 감소 등도 적자 구조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흑자 전환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게 한전의 관측이다.

한전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등 영향으로 제조업 가동률이 떨어지고 전력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방향으로 갈지는 모르겠다"며 "(흑자전환 여부는)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전 관계자는 문재인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에 따라 지난 2017년 대비 원전 가동률이 2년 연속 줄면서 적자가 심화했다는 일부의 지적에 대해선 "한전의 실적은 탈원전과 무관하다"며 선을 그었다.

이제 관심은 전기요금 인상 카드를 꺼낼지 여부다. 2년 연속 영업손실로 요금개편 요구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미 한전 내부에선 불필요한 특례 할인요금 폐지, 산업용 심야(경부하)요금 할인 완화 등으로 요금체계 개편을 준비 중이다.

한전 관계자는 "전기사용 실태 분석과 함께 요금체계 개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라며 "이에 대해 정부(산업통상자원부)와 계속 협의 중이고, 지속가능한 전기요금 체계를 내놓을 예정이다"고 말했다.

뉴스1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jepoo@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