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달러 가뭄’ 해소…신흥국 은행에 돈 푸는 미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신흥국들의 달러 유동성 위기가 커지자 미국이 세계 각국 중앙은행에 달러 추가 공급에 나섰다. 외환 보유액이 부족한 신흥국들의 국가부도 위기를 막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달 31일 환매조건부채권(Repo·레포) 거래를 허용하는 대출기구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세계 중앙은행들이 보유한 미국 국채를 담보로 받고 달러화 현금을 빌려주는 방식이다. 통화당국이 보유한 미 국채를 매도하지 않고도 유동화가 가능해진다.

이번 조치는 특히 연준과 통화스와프 체결이 되지 않은 신흥국을 주요 타깃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거래 비용이 많이 드는 미국 국채 매각보다 저렴한 달러화 조달 방식을 얻게 돼 달러 유동성 확보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된다.

달러 가치가 급등하면서 이들 신흥국의 부채 리스크는 최근 고조돼왔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신흥국들의 달러 표시 부채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두 배 넘게 늘어난 상태다. 영국 경제분석기관인 캐피털이코노믹스에 따르면 현재 신흥시장 18개국의 달러화 국채는 미국 국채 대비 10%포인트 이상 금리가 높은 상태로 거래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자칫 채무 불이행에 직면할 수도 있다.

이 같은 달러가치 급등은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불확실성이 커지자 시중 자금이 달러에만 몰려든 데 따른 것이다. 달러를 확보하려고 각국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미 국채까지 내던지면서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가 급등하는 현상이 벌어졌다. 이 같은 ‘강달러’ 불똥이 신흥국으로 튄 것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달러를 조달하지 못해 신흥국 금융기관이 도산을 하게 되면 이는 미국 금융기관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위원은 “중동 지역을 비롯한 신흥국의 외환 유동성 부족 우려를 완충해주고자 하는 조치로 판단된다”며 “통화가치의 방향성 자체를 바꾼다기보다는 신흥국 통화가치 급락을 막아주는 버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연준의 달러 공급 조치에도 불구하고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터키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외환 보유액이 부족한 국가들은 달러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면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는 것 말고는 대안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