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사라지는 포털 '실검'…네이버, 오늘(2일)부터 서비스 잠정 중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4·15 총선이 보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포털 네이버가 2일부터 실시간 검색어(실검) 서비스 운영을 잠정 중단했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4·15 총선 맞아 오는 15일까지 실검 서비스 중단

[더팩트ㅣ이성락 기자] 네이버가 2일 자정부터 실시간 검색어(실검) 서비스 운영을 중단했다.

4·15 총선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되는 시점에 맞춰 순위 관련 집중도가 높은 실검을 잠정 운영하지 않기로 했다. 포털 다음을 서비스하는 카카오는 지난 2월 20일 실검 서비스를 완전히 폐지했다. 국내 양대 포털사이트의 실검 서비스가 적어도 선거 기간 동안 사라지게 됐다.

네이버는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되는 이날부터 오는 15일 오후 6시까지 실검 서비스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유봉석 네이버 서비스 운영 총괄은 공식블로그를 통해 "선거 기간에는 다수의 관심사가 선거라는 큰 현안에 집중되는 만큼 선거의 공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측할 수 없는 사안이 발생하는 것을 대비해 일시적으로 실검 운영을 중단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실검 서비스에서는 정치적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이용자가 지지·반대 진영으로 갈라져 '실검 경쟁'을 벌이는 등 논란이 일었다. 일단 실검에 오르면 이용자들의 관심이 한 번에 쏠려 여론이 형성되는 '이슈 편중' 문제도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실검 조작'이라는 음모론도 거론됐다. 네이버가 서비스 중단이라는 대책을 세운 것도 이러한 의도치 않은 논란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네이버는 실검 순위에 대한 집중도를 낮추기 위한 기술적 개선 작업을 추진해왔다. 연령별로 차트 노출을 차별화한 데 이어 지난해 말에는 인공지능(AI) 기반 검색어 추천 시스템 '리요'를 적용해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개인별로 다르게 검색어 차트를 노출해왔다. 하지만 총선이라는 정치적 빅이슈를 앞두고 당분간 서비스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옳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더팩트

네이버의 실검 중단은 선거가 끝나는 오는 15일 오후 6시까지 유지된다. /네이버 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후보자명 연관검색어 기능도 지난달 모든 인물명 검색에 대한 연관검색어 노출이 중단됨에 따라 제공하지 않는다. 후보자명 검색에서 검색어 제안 기능도 선거 기간 동안 중단한다. 검색어 제안 서비스는 검색어를 입력할 때 맞춤법을 혼동하거나 자판 입력을 잘못해서 오타 또는 잘못 알고 있는 검색어로 검색했을 때 올바른 단어를 추천해주는 기능이다.

또 선거 관련 뉴스의 댓글과 댓글 공감·비공감은 실명이 확인된 이용자만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네이버는 악성댓글(악플)·어뷰징 시도를 줄이고, 댓글 본래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19일부터 사용자의 모든 댓글 이력을 공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뉴스 댓글 작성자의 닉네임과 프로필 사진을 공개하고, 신규 가입한 이용자는 가입일로부터 7일이 지나야 뉴스 댓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포털 다음을 서비스하는 카카오는 지난 2월 20일 실검 서비스를 완전히 폐지했다. 실검 관련 논란이 지속 발생하자 "카카오의 철학과 맞지 않는다"며 서비스 종료를 결정했다. 카카오는 재난 관련 정보 등 빠르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이슈가 빠르게 공유되는 기존 실검의 순기능을 살리는 방향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이번 선거 기간에는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실명 인증한 이용자만 뉴스 서비스 댓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카카오는 지난해 12월 인물 관련 검색어 서비스를 폐지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총선 후보자들의 관련 검색어를 제공하지 않는다. 검색어의 자동완성을 돕는 서제스트 역시 후보자의 공식 프로필이나 정보성 키워드만 표시한다. 카카오는 "공정하고 충실한 선거 정보 제공, 정치적 중립 준수 등 총선 서비스 준칙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객관적이고 풍부한 선거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rocky@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