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車생태계 붕괴 위기]이항구 "V자 반등 어려워..정부 계속 지원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장은 유동성 위기 겪는 기업 살리는 게 시급"

"금융권, 지원 잣대 낮춰 지원 못받는 기업 없게 해야"

"위기 후 대비 위해 연구개발·인력유지 중요"

"車산업 경제 미치는 영향 커..먼저 살려야 한다"

이데일리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대표적인 자동차산업 전문가인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7일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자동차산업이 위축될 것이다. 생산감소로 인한 시장축소는 물론이고 인력 구조조정도 불가피하다”며 “정부는 기업들이 위기를 견디고 위기 후 상황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날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금융위기 때를 복기해 보면 자동차산업이 크게 위축된 후 1년 정도는 침체하다가 2년차에 회복됐다”며 “이번에도 빠른 시간안에 시장이 회복되긴 어렵고 2022년은 돼야 정상궤도에 올라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V자 회복은 어렵다”고 내다봤다.

그는 “정부는 기업들이 당장의 위기를 이겨낼 수 있는 방안과 위기 후 정상화됐을 때 정상적으로 경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동시에 펼쳐야 한다”고 했다.

당장 시급한 과제는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들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는 “만기가 도래하는 채무를 연장시켜주고, 이자비용도 유예 또는 면제해야 한다”며 “기업의 운전자금이 부족할 수도 있고, 설비투자비가 필요할 수도 있다. 부품사들에게 자금이 수혈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국내 부품사가 적게는 4300개에서 많게는 9000개로 보는데 개별기업 단위로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전체적으로 산업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며 “파악이 끝내는 대로 정부가 종합적인 지원 대책을 내놓고 지원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연구위원은 “현장에서의 문제 중 하나가 금융권의 지원 기준이 너무 높다는 것이다. 부품사들이 재무적인 기준을 맞춰가도 금융사에서 비재무적 요소까지 보기 때문에 그걸 들이대면 다 떨어져 버린다”며 “정부에서 금융권에 잣대를 낮추라고 했다. (지원 손실에 대한) 책임도 묻지 않겠다고 했다. 비상상황인 만큼 비상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기 후 상황 대비와 관련해선 연구개발(R&D) 지속과 인력 유지의 필요성을 주문했다. 그는 “완성차업체들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2021년이면 중국과 EU에서 환경과 관련된 규제가 시행되는데 이 기준을 맞추려면 꾸준히 연구개발을 해야 한다”며 “또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개발도 계속돼야 시장이 정상화됐을 때 자동차 산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인력유지와 관련해선 기업들이 인력을 정리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불가피하게 구조조정을 했을 때 실업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미국의 경우 해고된 인력에 대해 기존에 9개월간 실업수당을 줬는데 이번엔 기간을 연장하거나 실업수당을 올리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며 “우리 역시 대규모 실업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만큼 사회안전망을 강화해서 전문인력들이 실업기간을 버티고 산업이 정상화됐을 경우 다시 일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정부가 자동차산업을 지원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자동차산업은 전후방 효과가 크다. 그만큼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다른 산업보다 먼저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