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이슈 치료제 개발과 보건 기술

코로나19 ‘혈장 치료’ 첫 효과…GC녹십자 치료제 개발 청신호 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브란스 최준용·김신영 교수팀

7일 대한의학회지에 논문 발표

2015년 ‘메르스’ 때 썼던 방법

비슷한 방식 ‘혈장 치료제’ 관심↑

[이데일리 박일경 기자] 올해 하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GC녹십자(006280)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혈장 치료제’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 중증 환자 2명이 완치자의 혈장을 주입하는 치료를 받고 회복되면서 비슷한 방식의 혈장 치료제도 효과를 보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녹십자 관계자는 8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등 사례에서 보듯 회복환자의 혈장 투여만으로 과거 신종 감염병 치료 효과를 본 적이 있다”면서 “이를 분획·농축해 만든 의약품의 치료 효능도 이미 결과가 나와 있는 셈”이라며 코로나19 ‘혈장 치료제’ 개발 방향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이데일리

8일 대구동산병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진료를 마치고 한 의료진이 고개를 푹 숙인 채 휴게실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녹십자가 고무된 이유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최준용·김신영 교수팀이 전날 국제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JKMS)에 낸 연구논문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 팀은 “코로나19 감염으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동반한 중증 폐렴이 생긴 환자 2명에게 혈장 치료를 한 결과 회복에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중증 코로나19에 대한 ‘혈장 치료’ 효과를 처음 확인한 것이다. 특정 질환에 걸린 뒤 회복한 사람의 혈장 속에 항체가 형성되는 점을 이용하는 방법인데, 2015년 메르스 때도 치료법으로 썼다.

혈장 치료와 혈장 치료제 간 차이는 혈장 치료가 회복환자의 혈장을 수혈하는 데 반해 녹십자가 개발 중인 혈장 치료제 ‘GC5131A’는 회복환자의 혈장에서 코로나19와 반응하는 면역 단백질만 분획해서 고(高)면역 글로불린(Hyperimmune globulin) 혈액제제를 만든다는 점이다.

이 같은 고면역 글로불린에는 녹십자가 오래 전 상용화한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 ‘헤파빅’, 항파상풍 면역글로불린 ‘하이퍼테트’ 등이 있다.

녹십자 관계자는 “앞서 상용화된 동일제제 제품들과 작용 기전 및 생산 방법이 같아 신약 개발과 달리 코로나19 혈장 치료제 개발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고 당초 예상보다 개발 속도가 빨라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데일리

혈장 치료제 성공 관건은 코로나19 치료제를 필요로 하는 확진자의 수요에 맞춰 회복환자 혈액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 있다. 현재 녹십자는 보건당국과 혈액 수급 문제를 두고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지난 7일 브리핑에서 “코로나19 관련 혈장치료 지침은 메르스 때 혈장 지침을 준용해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는 최종절차를 밟고 있다”며 “확실한 치료제나 백신이 없는 상태에서 중증환자의 치명률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가들의) 검토 후에 관련 혈장 확보와 투입 관련 체계가 가동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준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은철 녹십자 사장은 “치료적 확증을 위한 임상을 조만간 시작할 것”이라며 “치료제가 가장 시급한 중증환자 치료와 일선 의료진과 같은 고위험군 예방(수동면역을 통한) 목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