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코로나19 팬데믹] 중소병원 외래환자 34% 급감… ‘의료대란’ 불씨될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입원환자도 24% 줄어…경영 악화에 코로나 대응 비용은 늘어

심각한 경영난 도미노도산 공포…의료전달체계 붕괴 도화선

의사협회 “긴급자금 지원…국세, 지방세 감면 유예 시급”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 ‘코로나19’ 확산으로 병원을 찾는 외래환자가 34%나 급감하면서 '의료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 지역 의료기관 경영에 빨간불이 켜져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의료전달체계가 붕괴되고, 국민들이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진료 최전선에 있는 의원급과 중소병원의 몰락이 가시화된다면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져 의료전달체계를 붕괴시키는 도화선이 될 소지가 충분하다는 지적이다.
헤럴드경제

코로나19 바이러스 [헤럴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9일 대한의사협회에 따르면 협회 내 중소병원 살리기 태스크포스(TF)가 병원급 의료기관 손실규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달 16∼23일 대한지역병원협의회 소속 병원 62곳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난 3월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외래환자가 33.8%, 입원환자는 24.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병원의 외래환자 수는 1월은 평균 1.4%(3.8명) 증가한 반면, 코로나19가 점차 영향을 미친 2월에는 16.3%(44.5명) 감소했고, 코로나 영향이 본격화한 3월에는 감소폭이 33.8%(88.9명)로 더 커졌다. 입원환자의 경우 1월 5.9%(2.3명) 감소에서 2월에는 8.2%(2.9명)로 감소폭을 키웠고, 3월에는 24.8%(8.5명)로 감소폭이 더 커졌다.

환자가 크게 줄어들면서 지역 중소병원들의 매출은 줄어든 반면, 코로나 대응을 위한 비용은 오히려 늘어나 경영상태는 크게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외래 및 입원환자 감소로 월평균 매출액은 2월에 8.4%(8395만8000원) 줄었고, 3월에는 32.5%(4억400만3000원)나 감소했다.

반면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의사, 간호사 등을 추가로 고용하면서 병원이 부담해야 할 비용은 늘어 인력을 확충한 8개 병원의 평균 비용은 3707만9000원에 달했다. 인력 확충뿐 아니라 마스크나 손 세정제 구매, 선별진료소 설치 등으로 발생한 전체 추가비용은 평균 2202만1000원(58개소)으로 나타났다.

그간 지역 중소병원들은 정부의 보장성 강화정책에 기인한 상급병원 쏠림현상으로 환자수 감소는 물론, 최근 3년간 32%에 달하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환자 안전을 위한 정부 정책에 따른 많은 비용 소요 등으로, 병원경영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코로나19까지 겹쳐 병원운영이 기로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많은 중소병원에서는 경영 압박을 해결하기 위해 연차 소진, 단축 근무, 은행권 대출 등 다양한 자구책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렇게라도 해결되지 않을 경우 폐업 등 극단적 방법까지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코로나19’ 차단을 위한 장비 구매 등 안전조치들을 위한 추가비용의 대부분을 민간 의료기관이 떠안고 있는 상황에서 수 천만원에 이르는 추가 비용은 경영난을 겪고 있는 의료기관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가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병원들의 경영 악화가 심화되고, 앞으로 더 많은 의료기관이 경영난을 겪으면서 자칫 의료기관의 연쇄적인 도산으로 인한 의료전달체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국민들의 의료 이용이 제한되고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필수 의협 중소병원살리기 TF 위원장은 “정부가 투입하기로 한 100조 규모의 기업구호 긴급자금에 중소병원들이 배제되지 않아야 하고, 중소병원에 대한 국세 지방세 감면과 6개월 이상의 유예, 소상공인 자영업자와 동일한 수준의 ‘초저금리 장기운영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dewkim@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