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단독]채권단 “두산重, 자산 팔아 1조 자구안 마련하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갚아야할 차입금 올해만 2조 넘어… 두산솔루스 매각 나섰지만 역부족

채권단 “자구안 규모 보고 지원”… 인프라코어-밥캣 활용 요구할 듯

두산重 증자-핵심社 매각도 고려

동아일보

KDB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두산중공업 채권단은 두산그룹이 자산 매각 등을 포함해 1조 원 이상의 자구안을 갖고 와야 승인할 수 있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확인됐다. 두산그룹이 최근 두산솔루스 매각 협상을 진행하는 등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것만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채권단은 두산중공업이 그룹 내 핵심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밥캣의 지분을 내놓는 등의 내용이 담겨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9일 채권단 고위 관계자는 “두산이 마련해야 하는 자구안 규모는 최소 1조 원 이상이어야 할 것”이라며 “자구안의 실현 가능성과 규모에 따라 이미 약속한 1조 원 대출 외에 추가 자금 지원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자구안 1조 원 이상’은 두산중공업의 차입금을 감안한 최소 가이드라인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 총 차입금은 4조9000억 원으로 올해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 등 비은행 차입금만 2조 원을 웃돈다. 산은과 수은이 이미 1조 원 수혈을 약속했지만 차입금을 상환하는 데 턱없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두산이 자체적으로 1조 원을 마련하면 ‘1조+1조’를 통해 일단 올해를 넘길 수 있을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채권단은 계열사인 두산솔루스와 두산퓨얼셀 매각으로는 만족할 만한 유동성 규모를 채울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두산은 사모펀드 등에 두산솔루스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 51%를 5000억∼6000억 원 수준에 매각하는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두산중공업이 갚아야 할 총 차입금 규모를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또 매각이 거론되는 동대문 쇼핑몰 두타몰 역시 담보가치 5400억 원 중 4000억 원이 이미 담보로 잡혀 있다. 채권단의 다른 관계자는 “두산솔루스와 두산퓨얼셀 매각은 오너의 사채 출연이라는 의미는 있을 수 있지만 실질적인 유동성 확보 방안으로는 부족하다”고 했다.

채권단은 결국 그룹의 캐시카우(현금창출원)인 인프라코어와 밥캣을 활용한 유동성 확보 방안이 자구안에 담겨야 한다는 견해다. 이를 위해 ㈜두산→두산중공업→인프라코어→밥캣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에서 인프라코어와 밥캣을 ㈜두산이 직접 지배하는 구조로 재편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인프라코어와 밥캣이 두산중공업에서 벗어나면 신용이 보강될 수 있어 자체 회사채 등을 발행함으로써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장에선 두산중공업을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양분한 뒤 인프라코어와 밥캣을 투자회사에 넘기고 ㈜두산과 투자회사를 합병하는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이동헌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런 식의 지배구조 개편은 과거 두산엔진 매각 때 활용한 방식으로, 별도의 비용이 필요하지 않아 가장 현실적”이라고 했다.

채권단은 ㈜두산이 인프라코어 등 우량 자회사를 통해 현금을 확보한 뒤 두산중공업에 증자를 실시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더 나아가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밥캣의 매각까지 각오할 정도의 방안이 자구안에 담겨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채권단은 두산중공업의 경우 국내 화력발전소와 원자력발전소 유지·보수의 90%를 담당하고 있어 어떻게든 정상화시켜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채권단 고위 관계자는 “결국 최종 판단은 두산그룹이 내릴 것”이라며 “다만 국내 발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두산중공업의 위상이 절대적이어서 채권단도 정상화 방안을 최대한 모색할 것”이라고 했다.

김형민 kalssam35@donga.com·김자현 기자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