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해명에도 꺼지지 않는 회계 의혹…정의연과 윤미향은 '벼랑 끝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을 둘러싼 의혹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92)의 폭로 이후 회계 부정, 쉼터 관련 배임 의혹 등이 쉴새 없이 쏟아지고 있다. 정의연은 적극 반박하고 있지만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에 검찰은 두 차례에 걸쳐 압수수색하며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반복되는 회계 부실 논란…해명은 "실수"
시작은 지난 7일이었다. 이 할머니는 대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요집회에서 받은 성금이 할머니들에게 쓰이지 않았다"고 폭로했다. 정의연은 다음날 이 할머니에게 후원금을 지급한 내역을 공개하며 진화에 나섰다. 2017년 여성인권상 명목으로 지급한 1억짜리 계좌 이체증과 1992년 생활비 지원으로 100만원을 지급한 영수증 등이다.

하지만 불길을 잡히지 않았다. 정의연의 국세청 공시자료에는 총액 오류나 누락 등 사례가 다수 포착됐다. 2018년 기부금 지출 내역을 공시한 정의연은 총액 3300여만원과 함께 대표지급처로 '옥토버훼스트'라는 맥줏집 하나만 기재해 기부금 사용 논란에 휩싸였다.

또 2019년 결산서류에서는 전년도에서 넘어왔어야 할 기부금 이월액 22억7000여만원이 누락되기도 했다. 정의연은 회계공시장 실수라며 구체적인 지출 증빙내역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해명했다.

정의연과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은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13억여원의 국고보조금을 받았지만 국세청에 등록한 공시에는 5억여원으로 신고됐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의연은 이 역시 회계처리상 판단 착오였다고 설명했다.

■지인까지 개입된 '안성 쉼터' 의혹
정의연은 2013년 경기도 안성에 조성한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 대해서도 '고가 매입' 의혹을 받고 있다.

정대연은 정대협 시절이었던 2012년 현대중공업으로부터 10억원을 지정 기부 받아 안성에 7억5000만원짜리 쉼터를 마련했다. 그러나 당시 안성 인근의 시세와 비교했을 때 7억5000만원이 지나치게 높은 가격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쉼터 건물 매입 과정에서 윤미향 당선인의 남편 김모씨의 지인인 이규민 민주당 당선인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 특혜 의혹도 일었다.

이에 대해 정의연 측은 당선인의 남편 김모씨의 지인인 이규민 민주당 당선인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 특혜 의혹도 일었다.
이에 대해 정의연 측은 서울 마포구 인근에는 10억원으로 적당한 공간을 찾을 수 없었고, 7억5000만원을 들인 안성 쉼터는 고가 매입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이 당선인의 개입에 대해선 "해당 거물주를 소개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부적절한 개입은 없었다"고 밝혔다.

쉼터를 윤 당선인의 아버지가 운영하며 인건비 7580만원을 받은 것에 대해선 사려깊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해명할 수록 풀리지 않는 의혹
윤 당선인은 자녀의 유학비와 아파트 매입 자금에 대한 의혹도 받고 있다.

자녀 유학비 의혹은 연간 소득 5000만원 수준인 윤 당선인 부부가 최대 1억원으로 추정되는 자녀의 유학비를 어떻게 감당했냐는 내용이다.

윤 당선인은 '남매 간첩단 조작' 사건으로 재심에서 일부 무죄를 받은 남편이 형사보상금을 받아 딸의 유학 자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보상금을 받은 시기는 2018년이고 자녀의 유학시기는 2016년부터였던 것으로 파악돼 거짓 해명 논란이 일었다. 이에 윤 당선인은 보상금으로 유학비를 낸건 2018년부터였다고 추가 설명했다.

2012년 2억원대 아파트를 현금 구입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기존에 살던 아파트를 팔아서 자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기존 아파트를 판 시기는 1년 후인 2013년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윤 당선인은 기억을 정확히 하지 못했다며 예·적금을 해지하고 돈을 빌리는 등으로 자금을 마련했다고 해명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