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TF현장] "재주는 곰이 부리고"…휠체어 탄 이용수 할머니 '분노'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정의기억연대 기부금 의혹을 폭로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인터불고 호텔에서 윤미향 당선인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대구=임영무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안부 관련 사회운동 원칙도 제시

[더팩트ㅣ윤용민 기자] "김복동 할머니를 그렇게 이용해먹고 뻔뻔스럽게 묘지에 가서 눈물 흘려요? 그건 가짜의 눈물입니다. 병주고 약주고 하는…"

25일 오후 3시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호텔 1층 즐거운홀. 정의기억연대(정의연)와 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에 대해 날선 비난을 이어가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가 갑자기 흐느껴 눈물을 훔치기 시작했다. 또 다른 위안부 피해자인 고 김복동 할머니가 떠올라서다.

"김복동 할머니는 한쪽 눈이 실명이신 분인데 그런 할머니를 (정의연과 윤 당선인이) 여기 저기 끌고 다니며 이용했습니다. 나중에 하늘나라에 가서 할머니들에게 (내가) 이렇게 해결했다. (김복동) 언니, 내가 이렇게 해결하고 왔으니 용서해줘요, 이렇게 빌랍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 지원단체인 정의연과 이를 발판으로 국회까지 입성한 윤 당선인이 할머니들을 이용해 돈벌이만 하고 지원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이 할머니와 고 김 할머니는 30년간 국내외에서 위안부 관련 사회운동을 해 온 상징적인 인물이다. 특히 이 할머니의 사연은 '아이 캔 스피크'라는 영화로도 만들어져 이 운동의 대중화를 이끌기도 했다.

이런 이 할머니가 연일 분노를 쏟아내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그는 '부끄러움' 때문이라고 했다.

이 할머니는 "1992년 6월 25일 (위안부라는 사실을) 신고할 때 윤미향이 간사였다"며 "29일에 모임이 있다고 해서 교회에 가니 일본 어느 선생님이 정년퇴직을 하고 1000엔을 줬다며 100만원씩 (할머니들한테) 돈을 나눠 주더라"라고 윤 당선인을 처음 봤던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따라다니면서 보니 어린 농구선수들에게도 모금을 했는데 그때 너무 부끄러웠다"며 "그런데 (윤 당선인과 정의연은) 또 다른 어린 학생들의 돼지 저금통에 든 돈까지 받아서 챙겼다. 어제 그래서 밤새 한숨도 못잤다"고 덧붙였다.

더팩트

정의기억연대 기부금 의혹을 폭로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인터불고 호텔에서 윤미향 당선인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위해 입장하고 있다./대구=임영무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휠체어를 탄 이 할머니는 지난 7일 기자회견 때보다 살이 빠지고 기력이 쇠한 모습이었다. 하지만 윤 당선이에 대한 얘기가 나오면 감정이 북받치는 듯 언성을 높였다

이 할머니는 "만가지를 속이고 이용하고…제가 진짜 말을 다 못한다"며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사람(되놈)이 받아 챙긴 것 아니냐"고 말하기까지 했다. 윤 당선인이 할머니들을 이용해 인권운동가로서 입지를 굳히고 돈까지 벌면서 국회의원이 된 것은 옳지 못하다는 취지의 얘기다.

이 할머니는 윤 당선인을 용서한 적도 없고 앞으로 화해할 의지도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 할머니는 "아직 그 사람(윤 당선인)은 자기가 당당하다고 생각한다"며 "죄를 지었으면 죄(벌)를 받아야 한다. 30년을 하고도 의리 없이 하루아침에 배신했다. 그 배신당한 게 너무 분했다"고 말했다.

이날 이 할머니의 기자회견이 열린 대구 인터불고호텔은 취재진 수백 명이 몰려 인산인해를 이뤘다. 당초 기자회견이 열릴 예정이었던 대구 남구의 한 찻집이 너무 혼잡해지자 수성호텔로 장소를 옮겼다가 다시 인터불고호텔로 변경했다.

이 할머니는 공식 입장문에서는 '시민 주도 방식' '30년 투쟁의 성과 계승' '과정의 투명성 확보' 등 이 운동의 3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평화 인권 교육관 건립, 소수 명망가나 외부의 힘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역량 준비, 투명성과 개방성에 기반한 운영 체계 마련 등 6가지의 구체적인 문제 해결 방향도 내놨다.

now@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