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KAIST 부총장이 말하는 ‘바이오헬스케어’가 미래인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채수찬 KAIST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

IT강국에서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신약 개발은 외국과 공동으로

원격의료는 1단계 병원부터..제도 개선 절실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이데일리

채수찬 KAIST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뉴스1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90년대 말 외환위기가 금융을 배우는 계기가 됐다면 코로나19 사태는 바이오헬스에 대해 배우고 한국의 바이오헬스 산업이 한단계 올라서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채수찬 KAIST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장이 26일 기자들을 만나, 경제·산업·의료·디지털 헬스 분야 전문가 49명과 나눈 대담을 엮어 낸 ‘카이스트, 바이오헬스의 미래를 말하다’라는 책을 소개하면서 바이오헬스케어가 우리 경제와 산업의 미래라고 밝혔다.

노령화 사회에 슈퍼 박테리아 출연까지

그는 “90년대 말 아시아 외환 위기를 겪으면서 ‘리보(Libor·런던 은행간 금리)’라는 용어가 보통 사람들에게 어느정도 익숙해지고 IMF를 계기로 시장원리가 작동하는 금융 산업이 태동했듯이 코로나는 바이오헬스에 대해 배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감염병을 테스트하고 확진자를 추적하고 입원해 치료하는 데 있어 민관이 균형을 이뤄 위기 대응에 성공했다”면서 “앞으로 바이오헬스산업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커질 것이다. 무엇보다 인구 고령화에 대응해야 하고,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슈퍼 박테리아 감염도 계속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채 센터장은 미국 펜시베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라이스대학교에서 20년간 교수로 재직하다 김대중 정부 때 17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2008년부터 KAIST교수로 재직하면서 2010년부터 바이오헬스를 차세대 산업으로 보고 집중하다 2015년 정부의 지원을 받아 KAIST에 센터를 만들었다. 현재 그는 KAIST 대외부총장으로 활동 중이다.

우리나라가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하려면 어떤 일이 필요할까. 채수찬 센터장은 먼저 정부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다른 과학기술 혁신 분야에 비해 연구자와의 연결, 정부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왜냐하면 연구개발부터 감염병 관리, 건강보험 가격 결정 등이 전방위로 연결된 분야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IT강국에서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그러면서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의 도약을 위한 3대 핵심전략을 제시했다. 그것은 △신약 산업의 경우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이 중요하고 △의료기기는 글로벌 유통망에 접근하는 게 중요하며 △원격의료 같은 과학기술기반 의료서비스는 입법 등 제도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왜 그럴까. 그는 “한국은 IT 강국이나 바이오헬스 쪽은 갈 길이 멀다”면서 3대 핵심 전략을 언급했다.

신약 개발은 외국과 공동으로

신약 산업에 대해서는 “신약 개발에 보통 13년 정도 걸리고, 임상까지 끝내려면 2조 이상 든다”면서 “그런데 우리나라는 돈도 사람도 없다. 그래서 신약이 발전한 유럽과 공동 연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이 있다지만 바이오시밀러(복제약)이다. 이는 일종의 매뉴팩처링(제조업)이지 신약은 아니다. 그래서 유럽 등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이 중요하다. 유럽의 민관협력 혁신신약개발 네트워크인 IMI(Innovative Medicines Initative)가 연구기관 비딩을 붙이고 있다. 내년부터 새 사이클로 되는데 한국이 들어와도 좋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정부의 펀딩이 남았는데 그 부분이 안 돼 노력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KAIST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정책센터(Center for Bio-Healthcare Innovation & Policy, CHIP)가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소개와 발전전략을 담은『카이스트 바이오헬스의 미래를 말하다: 바이오헬스 전문가 49인과의 대담』을 출간했다. 산업계, 의료계, 신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 분야의 전문가 49인과의 대담 내용이 담겨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바이오헬스 산업과 보건의료체계의 발전 방향을 논의한 특별 간담회 내용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격의료는 1단계 병원부터..제도 개선 절실

의료기기에 대해서는 “우리나라는 기술은 있다. IT 기기가 있는데 유통망에 접근하는 게 어렵다”면서 “병원에 납품하는 것도 어렵고, 세계 시장의 유통망은 더 접근이 어렵다”면서 “의료기기 개발은 5,6년 걸리고 신약은 13년 걸리는데 그간 정부 정책이 신약에 집중돼 의료기기는 버려둔 자식처럼 됐다.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노력하면 신약보다 성과가 나올 게 많다”고 언급했다.

원격 의료 같은 과학기술 기반 의료 서비스(디지털서비스)에 대해서는 “제도 구축이 안 돼 한 발자국도 못 나가 답답하다”면서 “원격 의료는 이해를 못하면 무조건 의료 민영화의 길이 아닌가 의심하고, 거기에 이해를 같이 가는 세력들까지 목소리를 내서 갈등을 부추긴다. 하지만 코로나19로 공공의료에 대한 확신이 커졌다. 동네 병원부터 시작하더라도 이제 도입을 시작해야 한다. 제도적으로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