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윤미향, 8년 전엔 이용수 할머니 출마 만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2년 양자 통화 녹취록서 나와 / 윤 “의원 안해도 위안부 문제 해결” / 여성학자 김정란 위안부 논문서 / 정대협 문제 16년 전부터 예견 / 피해자들이 활동가에 끌려다녀

위안부 문제 해결이라는 시대적 사명 앞에 한마음이었던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과 최초 폭로한 이용수 할머니가 엇갈린 길을 걷게 된 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때부터 피해자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정대협 활동가들 사이의 갈등이 단초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일보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27일 열린 더불어민주당의 제21대 국회의원 당선인 워크숍에 불참한 윤미향 당선인의 명찰이 행사장 입구에 놓여있다. 허정호 선임기자


27일 여성학자 김정란씨 박사학위 논문인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전개와 문제인식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정대협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된 점 등에서 정대협의 초창기 활동이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아시아여성기금 논란’을 계기로 생존자와 활동가, 생존자와 생존자 간 갈등이 표면화하기 시작했다. 김씨는 논문에서 “국민기금이 ‘더러운 돈’이고, 그런 돈을 받는 사람은 비난받을 대상으로 여겨졌다”는 점을 지적했다. 즉 존중되어야 할 피해 할머니들의 선택을 정대협이 부정하면서 갈등의 씨앗이 뿌려졌다는 진단이다.

세계일보

피해 할머니들과 정대협 간 이견이 두드러진 대표 사안이 기금 문제다. 일본은 1993년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사죄와 반성을 표명한 고노담화 후속조치로 1995년 민간 모금 형식으로 기금을 조성해 피해자들에게 지급하려 했다. 최초 할머니 7명이 이 기금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자 정대협이 발끈하고 나섰다. 정대협은 이 기금이 법적 배상을 피하기 위한 꼼수일 뿐이라고 지적하고 할머니들에 대해서도 섭섭함을 드러냈다. 결국 기금은 시민단체 비판 끝에 2007년 사라졌다.

일부 높은 지식수준을 가진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피해자들을 위한 활동에서 벗어나 자기 이념과 가치를 위해 활동했다는 비판도 있다. 시민운동을 발판 삼아 정치권으로 진출하는 활동가들이 나타났다. 실제로 윤 당선인 뿐만 아니라 이미경 코이카(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과 지은희 전 여성가족부 장관도 정대협 출신이다.

세계일보

지난 25일 이용수 할머니가 기자회견 중 언급한 정의기억연대가 운영했던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소재 쉼터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의 앞에 한 시민단체가 부착한 비난문이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반면 윤 당선인은 8년 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국회에 진출하려던 이 할머니를 만류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노컷뉴스가 이날 입수해 보도한 이 할머니의 2012년 3월8일 통화 녹취록에는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고 죽기 위해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다”고 하는 이 할머니에게 윤 당선인이 “국회의원을 안 해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 총선 출마를 다른 위안부 할머니들이 싫어한다”는 취지로 말하는 대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정대협에서 일한 적 있다는 한 시민단체 활동가는 “피해자 할머니들과 지원단체인 정대협 위치가 전도돼 정대협 논리에 피해자들이 끌려가는 식이 됐다”며 “이 같은 문제들이 쌓여 현재 논란이 폭발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규모 있는 시민단체들은 피해자 지원 등 본연의 활동에서 벗어나 권력지향적인 경향이 많아졌다”고 비판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