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네이처도 놀란 K방역…한국과학계 이례적 집중조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이 코로나19 위기에 대처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야말로 퍼스트 무버(선도자)이지 않나. 서양 국가들도 한국을 보고 배워야 한다고 판단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의 전쟁에서 한국이 글로벌 진단·방역 강국으로 부상한 가운데 국제 학술지 '네이처'를 발간하는 네이처 그룹 내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DB) '네이처인덱스'가 28일 이례적으로 한국 과학계 전반을 다룬 특집호를 발간했다. 지난 2016년 네이처인덱스가 기초과학연구원(IBS)을 조명한 바 있으나 연구개발(R&D), 과학 기술력 등 한국 과학계 전반을 짚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네이처인덱스 창립자 데이비드 스윈뱅크스 네이처 호주·뉴질랜드 회장은 매일경제와 인터뷰에서 "이번 특집호 발간으로 한국은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국 정부가 의욕적으로 R&D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데, 이 같은 투자 효과에 대해서도 분석할 필요성을 느꼈다"고 밝혔다.

네이처인덱스 전문기자 세 명이 작성한 이번 보고서는 한국이 코로나19 확산 위기에 발빠르게 대처 가능했던 근본적 배경엔 정부 주도의 강력한 R&D 예산 투입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지난 2018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예산 비율은 4.5%로, 이스라엘(4.9%)에 이어 세계 2위다. 이에 기반해 ICT(정보통신기술) 강국으로 떠올랐기에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치밀한 역학조사, 민간 주도의 발빠른 진단시약 상용화 등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학계와 산업간 인적 교류가 매우 활발하다는 점도 우리 과학계의 특수성이라고 이들은 치켜세웠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연구원 1000명당 3명이 산업 분야에서 학계로 넘어갔다. 이는 세계 1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2위인 프랑스는 이 수치가 2.5명 이하에 불과했다. 반면에 학계에서 산업으로 넘어간 연구원 비중은 네이처인덱스가 선정한 세계 최고 연구강국 10개국 중 6위를 차지했다. 네이처인덱스가 선정한 연구 강국 10개국은 미국, 중국, 독일, 영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스위스, 한국, 호주가 있다.

국가간 인적 교류가 활발한 점 또한 한국이 과학 선진국으로 나아가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았다. 고립된 연구 환경에 있었던 과거의 한계를 어느정도 벗어났다는 것이다. 네이처인덱스에 의하면 최근 3년간 한국으로 유입된 해외파 연구원(국내로 돌아온 내국인 포함) 비율은 4.3% 이상으로, 세계 평균치(3.7%)를 웃돈다. 이들 해외파 연구원은 지난 5년간 10회 이상 인용된 논문 수가 국내 연구원보다 50% 이상 많았다. 거꾸로 한국에서 외국으로 옮겨 활약 중인 연구원은 미국이 575명, 영국 251명, 인도 73명, 독일 67명 순이었다.

한국이 미국과 중국, 일본에 견줘 물리학 연구가 가장 활발하다는 사실에도 보고서는 주목했다. 네이처인덱스는 매해 자연과학 분야 세계 최고 수준 저널 82종에 발표되는 6만여 편 연구 논문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국가별, 분야별 연구 기관 순위와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은 연구 분야별 논문 주제 비중을 가리키는 네이처인덱스 순위에서 4개국 중 물리학 비중이 제일 높았다. 국내 연구 기관 종합 순위는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IBS, 연세대, 성균관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순이었다.

하지만 창의적인 연구가 어려운 환경은 한국 과학계의 한계로 지목됐다.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상대적 소외, 논문 개수 중심의 평가 시스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 과제나 예산 등이 정치적 이슈에 휘둘릴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스윙뱅크스 회장은 "과거 1970~80년대에는 IBM과 벨연구소 같은 기업이 기초과학 연구를 많이 했다"며 "장기적으로는 삼성 등 한국 대기업들도 기초과학 연구에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응용 연구가 단기적인 경제성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기초과학과 응용 연구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했다. 돈만 내면 학술지에 논문을 실어주는 유령 학회 문제 등에 관해선 "단순히 논문의 숫자가 아닌 논문의 질을 따지는 것은 전세계적인 트렌드임을 명심해야 한다"며 "예산을 주는 기관, 연구기관, 대학이 스스로 나서서 연구자들을 평가하는 방식을 바꿔야만 논문의 질을 우선시하는 추세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시균 기자 / 이종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