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한국 우주탐사는 걸음마 수준...국제 프로젝트 참여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 유인탐사 5~10년 수준...제한적 연구 진행

명시된 계획도 없어...국민 합의와 국가 비전 필요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민간 항공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유인 우주선 발사를 성공적으로 이끈 반면 한국의 우주탐사는 걸음마 단계에 있다.

우주 탐사는 좁은 의미에서 보면 탐사를 위한 직접적인 장비를 만들기 시점을 의미하며, 넓게는 우주인을 배출하거나 우주인을 배출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한 시점이나 탐사를 위한 관측을 비롯한 전체 항공우주 연구개발 기간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데일리

누리호 발사를 그래픽으로 구현한 장면. 한국의 우주탐사는 걸음마 단계에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08년 러시아 소유즈 TMA-11호에 탑승한 이소연 우주인을 기점으로 보면 약 10년, 달궤도선(KPLO)를 개발한 시점으로 보면 우주 탐사 연구개발 기간은 5년을 상회한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한국은 그동안 1990년 우리별 1호를 시작으로 인공위성 기술력을 확보하고, 나로호 발사와 한국형발사체(누리호) 시험 발사를 통한 로켓 기술력을 축적했다. 또 블랙홀 관측부터 천문 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반면 좁은 의미의 우주탐사 분야가 시작된 것은 한국형달궤도선(KPLO) 개발 이후부터다. 한국은 오는 2022년 7월 달 궤도선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우주탐사 역사가 짧은 이유 중 하나는 핵심 우주기술 개발이 이뤄진 반면 국가 비전이 수립되지 않은 우주 탐사 분야의 실정에 있다.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을 다룬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에도 각종 우주 원천기술 개발은 포함됐지만, 유인탐사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나 규정은 없다.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 이후 우주탐사에는 제한된 인력과 예산이 투입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일부 대학을 중심으로 연간 5억원 내외 예산을 투입해 유인 우주인에게 필요한 무중력상태와 같은 기초 연구가 이뤄졌다. 이와 함께 2016년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달궤도선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현실적인 전략으로는 2024년 유인 달착륙을 추진하는 미국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비롯한 각종 프로젝트에 국제 파트너로 참여해 우주 개발 역량을 축적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미국에서도 한국의 참여를 제안했지만,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은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스페이스X의 민간 우주선 발사 성공으로 민간 우주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우주 후발주자인 한국도 흐름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산업체에 민간 우주개발 참여를 유도하고, 연구기관과 학계가 밀착해 우주 상업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광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는 “유인탐사는 많은 예산과 인력 등이 투입돼야 하기 때문에 국민이나 정부와 합의도 필요하다”며 “민간 우주탐사가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국내 실정을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주 박사는 “한국의 우주탐사는 5~10여년 동안 연구가 이뤄져 왔으며, 일부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관련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며 “그동안 우주탐사에서 선언적 연구나 국가적 비전이 명확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제4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 등을 통해 반영하는 등 국제 흐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