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靑 'G7 참여, 대중관계 영향없다' 판단…"포스트코로나 이정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반발하지 않을 것"…G7서 '中고립화' 움직임 반대 역할도 가능

어느 한쪽 선택 아닌 세계질서 속 '포스트 코로나' 선도적 역할 의지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후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20.6.1/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최은지 기자 = 미국과 중국 관계가 악화일로인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G7(주요 7개국) 회의 초청에 응하며 미중 갈등의 한가운데서 외교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G7에 한국과 러시아, 인도, 호주, 여기에 브라질까지 추가해 G11 혹은 G12 체제로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면서 한국의 대중(對中) 관계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2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G7 확대 체제에 참여하는 것이 한국의 대중 관계에 영향이 없다고 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기 전 G7 초청에 관해 "조금도 회피할 필요가 없다. 환영할 만한 일이다"라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기존 G7도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체제가 아니었고 중국과 대립 구도가 형성된 적도 없다"며 "G7 확대 체제에 들어간다고 중국과의 관계가 나빠질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정상통화에서 중국 문제는 전혀 나오지 않았다. 홍콩 문제도 나오지 않았다"며 "중국이 반발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G11 혹은 G12 같은 G7 확대 체제에 참여하는 것은 미국의 '중국 고립화 전략'에 동조하는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 고위 관계자는 "G7 확대 체제에서도 하나의 목소리가 나오는 게 아니라 여러 목소리가 나온다"며 "중국의 편을 드는 목소리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오히려 의제에 따라 G7 확대 체제 안에서 미중 갈등을 중재하거나 중국 고립화에 반대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의 G7 참여 결정에는 미중 갈등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이정표'와 같은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전날 통화에서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며 "금년도 G7의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적절한 시기에 대면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문 대통령이 전날 제6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밝힌 한국판 뉴딜 구상과도 맞닿아 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를 빠르게 극복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을 두 축으로 한 한국판 뉴딜을 통해 '추격국가'에서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강 대변인은 G11 혹은 G12로 전환이 이뤄질 경우 "한국이 G11 또는 G12라는 새로운 국제체제의 정식멤버가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세계의 질서를 이끄는 리더국 중 하나가 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kukoo@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