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이슈 G7 정상회담

"조금도 회피할 필요 없다”... ‘교량국가’ 향한 文대통령의 G7 비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전 이미 "환영할 일이다"

靑 일각 신중론에 선 긋고 "기꺼이 응할것"

美中 모두와 전략적협업..때론 가교 역할도

美中 전시상황선 한계, 南北문제도 관건인데...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과 관련 조금도 회피할 필요가 없다. 환영할 일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 통화를 앞두고 참모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같은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전하면서 “G11 또는 G12의 정식 멤버가 될 경우 우리나라의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각) 갑작스럽게 ‘G7 확대 제안’을 내놓았을 때만 해도 청와대의 반응은 신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6월 미국에서 열기로 예정된 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한다”고 밝힌 후 한국,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 대상으로 지목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당시 이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미국과 협의를 해나가야 할 문제”라며 말을 아꼈다.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런 초청을 두고 안보실 내부에서는 다각적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복잡한 외교 함수에 문 대통령은 확실한 가이드라인을 내놓았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 앞서 이미 ‘고민할 문제가 아니다’라는 취지의 입장을 참모들에게 전했다고 한다. 청와대는 이후 선진국 클럽의 일원이 될 가능성이 커진 것에 대해 “세계의 질서를 이끄는 리더국 중 하나가 된다는 의미다”면서 분명한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폭발하는 美中, 답보상태 南北은 한계



다만 이같은 문 대통령의 교량국가 구상이 현실화하기엔 수많은 장애물이 도사리고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당장 중국의 반응은 심상치 않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G7에 한국 등을 초청한 것을 두고 “중국을 겨냥한 당파를 만드는 건 인심을 얻지 못할 것이다. 이런 행위는 관련국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묵직한 경고를 날렸다. 청와대는 앞서 중국의 반응에 대해 “반대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으나, 현재 미중의 관계는 작은 불씨 하나에도 곳곳에 산불이 일어날 만큼 예민한 상황이다.

본질적으로 문 대통령의 교량국가 구상이 실현되기 위해선 남북 관계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한 부분이다. 한반도가 반으로 끊긴 상태에서의 문 대통령의 교량국가론은 한계가 분명하다. 문 대통령도 지난해 프로젝트 신디게이트 기고문에서 “남과 북 사이 끊긴 철길과 도로를 잇는 일은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선도하는, 교량국가로 가는 첫걸음이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이 없는 G7 확대 구상에 기꺼이 참여하겠다고 밝힌 문 대통령이 첨예한 외교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된다. 이같은 국제 정상회의가 만약 연내 미국에서 열릴 경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의 하나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G7의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 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면서 “적절한 시기에 대면 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홍우기자 seoulbird@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