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KT 인공지능, LG 가전·유플러스 속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사, AI 기술개발 공동전선 MOU

[경향신문]



경향신문

‘AI 연합군’ 출범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에서 3일 열린 ‘대한민국 인공지능(AI) 1등 국가를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박일평 사장,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전홍범 부사장, LG유플러스 FC부문장 이상민 부사장(왼쪽부터)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신서비스·가전에 기가지니 탑재
감염병 확산 방지 모델 개발 목표
각사의 장점 활용 ‘시너지’ 기대

“지니야, 냉장고 문 열어줘.” 이제 KT의 인공지능(AI) 음성인식 플랫폼 ‘기가지니’를 활용해 LG전자 가전제품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 사이에 AI 기술 개발 각축전이 치열한 가운데 LG전자, KT, LG유플러스가 공동전선을 구축했다. 향후 통신사의 빅데이터와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이 전자업체의 TV나 스마트폰과 결합하면 AI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비대면(언택트) 서비스’가 확대된 것도 기업들이 AI 사업에 적극 투자하는 이유다.

LG전자, KT, LG유플러스 등 3사는 3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에서 AI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박일평 사장은 “경쟁력을 갖춘 기업, 대학, 연구소들과 협력해 AI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실질적인 사업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3사의 첫번째 사업으로 KT의 기가지니 서비스를 LG전자 가전제품이나 LG유플러스 서비스에 탑재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또 KT와 LG유플러스의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LG전자의 TV나 냉장고 등을 연동시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작동할 수 있게 만들려고 한다. 이를 위해 ‘LG·KT 연합군’은 AI 기술과 인력 공유 차원에서 각사의 장점을 활용한 ‘산업 실무형 AI 교육’에 돌입할 계획이다.

AI 역량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에도 나선다. 1차 목표는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LG·KT 연합군은 KT와 LG유플러스의 통신 데이터와 LG전자의 제조 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기로 했다.

앞서 SK텔레콤도 지난 1월 삼성전자, 카카오와 함께 ‘AI 초협력’을 선언한 바 있다. 당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등 글로벌 기업끼리는 이미 협력을 하고 있는데 국내 업체들이 따로 해서는 게임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자사 AI 스피커 ‘누구’를 삼성전자 냉장고에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통합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그룹사를 넘나드는 전자·통신업체 간 합종연횡이 한 회사가 계열사들을 동원해 특정 사업을 나홀로 수행하는 식의 ‘수직계열화 시대’가 끝났음을 의미한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그간 AI 분야에서도 기업별로 별도의 전담팀을 운영해왔지만, 구글 같은 글로벌 공룡에 맞서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게다가 AI는 빅데이터 기반의 산업으로 인구 5000만명을 상대로 정보를 수집하는 국내 기업이 그보다 훨씬 규모가 큰 중국(약 14억명)이나 미국(약 3억명) 기업과 경쟁하기에 버거운 측면이 있다. LG·KT 연합군은 기존에 KT가 현대중공업, KAIST, 한양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 구성한 AI 산학연협의체와도 교류를 추진하는 등 외연 확장에 힘을 쏟고 있다.

전례 없는 감염병 위기가 이들 기업의 경영전략에 변화를 가져온 측면도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기존 오프라인에서 비대면 사업으로 무게중심이 옮겨지면서 AI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구교형 기자 wassup01@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