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두더지 닮은 무인 지하시추로봇 개발…"자원탐사·우주개척 활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무인시추로봇 ‘몰봇(Mole-bot)’. 두더지의 형태와 움직임을 모사했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두더지의 형태와 움직임을 모방한 무인 시추로봇을 개발했다. 자원탐사의 효율을 높이고 최근 본격적으로 시작된 우주행성 개척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팀은 지하에 투입돼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굴을 팔 수 있는 두더지 모양의 로봇인 ‘몰봇(Mole-bot)’을 개발했다고 4일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 두더지의 핵심은 실제 두더지가 이빨로 장애물을 갉아서 돌파한 뒤 앞발로 흙과 같은 부산물을 치우고, 자유롭게 몸통을 비틀어 이동하는 모습을 흉내낸 것이다.

이번에 개발한 길이 84㎝, 무게 26㎏짜리 ‘몰봇’을 보면 선풍기처럼 회전하는 전면부 드릴이 돌과 접촉해 구멍을 내고 두 개의 인공 앞발이 흙을 치운 뒤 허리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통해 땅 속에서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몰봇’에는 탱크처럼 무한궤도가 장착돼 지하의 험한 환경을 뚫고 이동할 수 있다.

‘몰봇’의 가장 큰 장점은 땅을 팔 때 부수적인 장비가 필요 없다는 것이다. 현재는 땅을 파려면 시추기와 파이프라인, 펌프 등 복잡한 장비를 동원해야 하지만 이런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 없는 것이다. 굴착 비용을 아끼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지하에서 움직이는 ‘몰봇’의 위치를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알아내는 기술도 개발했다. 지하에선 GPS 등 지상이나 공중에서 쓰는 위치파악 기술이 무용지물이 되는 점을 해결한 것이다. ‘몰봇’의 굴을 파는 속도는 시속 1.46m로 측정돼 비슷한 기술을 개발 중인 다른 해외 연구진보다 3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명현 교수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희토류 등을 탐사하는 데 쓰일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외계행성에서 굴착을 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