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콘텐츠 저평가·후진적 관행…CJ ENM·딜라이브 갈등 불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유승목 기자] [CJ ENM·딜라이브 갈등 점입가경…미디어 트렌드 바뀌고 사업환경 악화하며 대립 수면 위로]

머니투데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생충'부터 '킹덤', '싸이코지만 괜찮아'까지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을 주름잡고 있지만 정작 국내 미디어 콘텐츠 생태계는 붕괴 직전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국내 대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CJ ENM과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딜라이브 간 수수료 갈등이 수면 위에 떠오르면서다.

업계에선 곪았던 상처가 터졌다는 반응이다. 유료방송 시장의 다소 후진적인 계약 관행과 콘텐츠 가치에 대한 저평가가 지속되며 결국 사달이 났다는 것. 글로벌 미디어 시장이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는 상황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콘텐츠 한류가 반짝인기로 끝날 수 있단 지적도 나온다.


"5년 동결 수수료 올해는 올릴 것"

한 마디에 터진 수수료 갈등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CJ ENM과 딜라이브가 프로그램사용 수수료 인상 여부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CJ ENM이 지난 3월 유료방송 사업자들에 15~30% 가량의 수수료 인상을 요구하는 내용의 '2020년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안' 공문을 보내면서다. 현재 유료방송사 75% 가량은 수수료 인상 합의를 마쳤거나 세부적인 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 3위 케이블TV 사업자인 딜라이브가 강하게 대립각을 세우며 잡음이 커졌다. 인상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수수료 동결을 통보하고 협상 자체를 거부하고 나섰다. 케이블방송 수요 감소로 업계 전반의 어려운 현실을 외면하고 무리한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CJ ENM이 결국 tvN과 OCN, Mnet 등 자사 13개 채널에 대한 '송출 중단'이란 초강수를 꺼내들자 갈등은 극에 치달았다. CJ ENM 관계자는 "다른 경쟁사 사용료는 지속 올려주고 있지만 우리는 5년째 동결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시청률 부진에 허덕이는 지상파 3사는 최근 IPTV 업계와 재송신료(CPS) 25% 인상에 대한 합의를 마치고 케이블TV, 위성방송과도 비슷한 내용으로 계약에 나설 예정이다.


언뜻 보면 대기업 갑질인데…

이면엔 "정당한 콘텐츠 제 값 달라"



머니투데이

/사진=각 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로의 입장 차가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에 이어지며 딜라이브 등 일부 유료방송에서 CJ ENM 프로그램의 공급이 끊기는 초유의 상태가 현실화하고 있다. 딜라이브 가입자만 200만명이 넘고, CJ ENM 드라마·예능 콘텐츠가 인기가 높단 점에서 소비자 피해도 상당할 전망이다.

자칫 소비자를 볼모로 대기업이 '갑질'을 하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는 대목이다. 이 같은 리스크를 떠안으면서도 CJ ENM이 '블랙아웃' 카드를 꺼낸 데에는 콘텐츠에 대한 정당한 값을 쳐달라는 의미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콘텐츠 시장이 OTT를 중심으로 통합되고 구독형 서비스가 확산하며 IP(지식재산권) 경쟁력이 화두로 떠올랐는데, 현재 콘텐츠 제작 수익구조로는 도태될 수밖에 없단 것이다. PP들이 유료방송 플랫폼으로부터 받는 대가가 제작원가에도 미치지 못해서다. '2018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에 따르면 PP는 콘텐츠 제작에 1조7611억원을 투자하지만 플랫폼 사업자의 사용료는 5700억원(32.45%)에 불과하다.

콘텐츠 질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는데 정작 투자금 회수도 어려운 것이다. 정당한 대가를 지불 받지 못하게 되며 크게는 과감한 콘텐츠 제작부터 작게는 스태프 처우 등 제작환경 전반의 개선도 어려워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CJ ENM 관계자는 "딜라이브의 경우 정율제로 사용료를 지급해 실적에 따라 사용료가 달라진다"며 "제작 협력사들에게 정해진 금액을 줘야 하는 PP 부담만 커질 수밖에 없는 불공정 계약"이라고 말했다.


뒤바뀐 갑과 을·어려워진 사업환경

불공정 관행과 힘겨루기 멈춰야


머니투데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양 사의 대립을 두고 홈쇼핑 송출수수료 갈등이나 CJ ENM이 출범을 앞둔 OTT 플랫폼 티빙(TVING)의 협상력 강화를 위한 포석이란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PP사와 플랫폼의 수수료 갈등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란 점에서 업계에선 예측불가능한 사업환경 속에서 생긴 주도권 다툼이 원인이라고 입을 모은다.

갑의 위치였던 플랫폼사가 미디어트렌드 변화로 위축되고, 반대로 콘텐츠를 유통하는 PP의 영향력이 커지며 생존을 위한 힘겨루기가 본격화했단 것이다. 콘텐츠 사용료가 아닌 광고·협찬 등 부가가치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비상식적 수익구조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녹록지 않은 사업환경에 플랫폼이 이를 쉽사리 받아들일 수가 없어서다. 지난해 케이블TV 방송매출은 2조227억원으로 전년 대비 671억원 가량 감소했다.

뿌리 깊은 불공정 계약 관행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국내 유료방송 업체들은 한 해 콘텐츠 사용료 계약을 다음해에 체결한다. 실제 지난해 방송프로그램 공급계약도 올해가 돼서야 협상 테이블이 열렸다. '채널편성권'을 갖고 있는 플랫폼사의 협상력이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제작비용이 지속 늘어나는 상황에서 빚 지고 콘텐츠를 제작해 유통하고 나서야 정산 받는 시스템을 견딜 수 없단 불만이 PP 사이에서 높아지는 이유다.

이에 일각에선 CJ ENM이 올해 초 매년 지연되는 계약 정상화를 위해 관행과 달리 조기계약 진행을 요청하면서 플랫폼사의 반발을 샀다는 분석도 나온다.

콘텐츠 업계 관계자는 "기존 방송 미디어 시장의 사업환경이 악화되고 글로벌 미디어 시장이 통합되기 시작하며 콘텐츠를 제공하는 PP와 이를 유통하는 플랫폼사의 갈등은 예견된 일이었다"며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기 시작한 국내 콘텐츠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서라도 빠른 시일 내에 방송시장 갈등이 봉합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승목 기자 mo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