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네이버·카카오·배민 대표 총출동···금배지 35개의 ‘디지털 공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디지털경제 혁신연구포럼 출범식이 열렸다. 사진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쿠팡도 외국 자본이다. 이커머스도 외산 플랫폼이 장악했다.” (여민수 카카오 대표)

“원격근무 (정도가) 아니고, 완전히 새로운 일의 방식으로 변할 것 같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

네이버·카카오·배달의민족·직방…. 한국인의 일상을 지배하는 인터넷 기업 대표들이 국회에 모여 디지털 경제와 혁신을 논했다. 네이버 출신(윤영찬), 카카오 출신(이용우), 벤처기업 출신(이영) 초선 의원이 마련한 연구 모임에서다.

21대 국회 디지털경제혁신연구포럼이 6일 출범했다. 공동 대표인 윤영찬·이영·이용우·허은아 의원을 포함, 금배지만 35개 짜리(정회원 11명, 준회원 24명) 모임이다.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출범식은 여야 의원 40명과 유관 단체들로 대성황이었다.

IT 기업인으로는 한성숙 네이버 대표,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 안성우 직방 대표가 의원들과 좌담했고,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도 참석했다.



카카오 대표 "데이터 규제로 무기력" 작심 비판



좌담회에서 기업인들은 규제가 과도하거나 국내 기업에 더 불리하다고 입을 모았다.

중앙일보

국회 디지털경제 혁신연구포럼 출범식 토론회. 왼쪽부터 안성우 직방 대표,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 이영 미래통합당 의원,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코로나19 국면에 무기력함도 느꼈다”며 데이터 활용 규제를 비판했다. 그는 “카카오톡으로 질병관리본부 정보 알림과 모금도 했지만, 인공지능(AI) 기술과 데이터로 상황을 전환하지 못했다”며 “위치 데이터를 통한 인구밀집지역 정보 등도 기술적으로 준비됐지만 허가나 제도가 받쳐주지 않아 활용하지 못 했다”고 했다.

여 대표는 국내외 기업 규제 차이에 대해서도 작심 발언을 이었다. “규제 위반의 벌칙이 국내외 기업에 동일하지 않다”며 “유튜브·페이스북 같은 외산 플랫폼과의 건전한 경쟁을 위해 이런 점이 다듬어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의 발언에는 온도 차가 있었다. 한 대표는 “네이버가 라인을 통해 일본·태국·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분야 1위”라며 웹툰의 미국·유럽 시장 성장 등 해외 성과를 먼저 소개했다. 그러면서 “국내 규제는 국내 기업이라고 (외국 기업보다) 먼저 실행하지 말고, 같은 기준으로 했으면 한다”고 했다.



‘오프ㆍPCㆍ모바일’ 시장점유율 계산에 민감



이날 좌담회에선 모바일 앱 기반 플랫폼 업체들의 관심사인 ‘점유율’도 언급됐다. 안성우 직방 대표는 “최근에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바일을 나눠서 보시지만, 사실 통합 플랫폼”이라며 “전체 시장 규모를 검토해서 스타트업에게 성숙의 시간을 주셨으면 한다”고 했다. 직방은 ‘모바일 부동산 앱’ 점유율 1위지만 온ㆍ오프 합하면 점유율이 높지 않다는 취지다. 시장 독과점 논란에 휩싸일 수 있어 ‘점유율 계산’은 인터넷 기업들의 공통 관심사다.



네이버ㆍ카카오 '원격근무해 보니'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에 겪은 업무 방식의 변화에 대한 논의도 오갔다. 전 직원 원격 근무를 시행한 네이버와 카카오의 CEO들이 경험을 공개했다.

한성숙 대표는 “네이버에선 원격근무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새로운 근무에 대한 토론을 시작했다”며 “당장은 생산성이 떨어지고 직원이 열심히 일하지 않을 걱정도 있지만, 그러다 변화를 못 하는 것이 더 큰 리스크”라고 했다. 카카오 여 대표는 “초유의 사태를 겪어보니 업무 도구보다 신뢰가 중요했다”며 “보이지 않아도 저 사람의 노력을 인정할 수 있느냐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상생하고 있다’ 줄곧 강조



몸집 큰 기업들은 ‘상생’을 연신 언급했다.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는 새로 도입한 배송 로봇 사례를 소개하며 “로봇이 배달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라이더가 소비자의 대문 앞까지 방문할 것 없이 아파트 단지 내에 대기중인 로봇에게 음식을 건네고 빠르게 다음 배달을 갈 수 있다”는 것.

네이버 한 대표는 쇼핑 서비스 ‘스마트스토어’가 소규모 자영업자의 온라인 판매 기회임을, 카카오 여 대표는 카카오톡 이모티콘처럼 창작자가 돈 벌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상생의 근거로 내세웠다. 이영 의원은 이들에게 “밖으로는 글로벌 기업과 경쟁이지만 국내에서는 작은 파트너와 상생이 숙제”라며 “같이 가야 국회에서도 힘을 드릴 수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와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이사가 6일 국회 디지털경제 혁신연구포럼 출범식에서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 뉴스1〈b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영찬 의원은 좌담회에서 중국 정부가 2015년부터 펼친 ‘인터넷플러스’ 정책을 언급했다. 기존 제조업에 인터넷을 더해, 중국 인터넷기업을 글로벌 시장에서 키우겠다는 정책이다. 윤 의원은 “리커창 총리의 정책에 텐센트의 마화텅 회장이 화답해 대규모 디지털 전환을 이끌었다”며 “국내에서도 이런 구조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좌담회에 IT 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데에는 윤 의원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한 대표는 “디지털경제 논의를 오래전부터 윤 의원이 이야기하셔서 이 자리에 왔다”고 했다. 포럼 발족에 참여한 국회 보좌진은 “섭외되는 걸 보고 우리도 신기했다”고 했다.

이날 좌담회에서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 사업에 대한 논의도 오갔다. 김광수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발제를 맡아 “정부의 데이터 구축 사업이 민간 데이터업계 생태계를 왜곡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포럼은 하반기 데이터3법, 창업 활성화, 인터넷 상거래, 금융혁신, 게임 정책 등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다. 벤처기업협회,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인터넷기업협회, 게임산업협회, 한국온라인쇼핑협회 등 8개 민간 협회·단체가 자문한다.

심서현 기자 shshim@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