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서울시민, 비선호시설 1위는 ‘쓰레기 매립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 비선호시설 인식 조사 결과

시설 필요성은 높으나 선호도는 낮아

공공임대주택·노인시설 “무조건 수용”

헤럴드경제

거주지역 입지 시 꺼려지는 비선호 공공시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서울시민이 거주지역 내 가장 꺼리는 시설은 쓰레기 매립지와 소각장 등 폐기물 처리 시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서울시는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서울시민 비선호시설 인식 조사’ 결과 거주지역 내 가장 꺼리는 시설은 ‘쓰레기 매립지’가 6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쓰레기 소각장’(57.9%), ‘구치소·교도소’(45.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쓰레기 적환장·소각장 등 폐기물처리시설’ 입지 시 “어떠한 조건에도 절대 반대”(59.3%)한다는 입장이 10개 시설 항목 중 유일하게 과반을 차지했다. 반면 “무조건 수용”하겠다는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시설 항목으로는 ‘공공 임대주택’, ‘노인 주간 보호시설’, ‘노인 주거복지시설’, ‘장애인 복지시설’이 있다.

특히 10개 비선호시설 유형별 필요성과 선호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쓰레기 적환장(매립장에 가기 전에 쓰레기를 임시로 모아두는 곳)·소각장 등 폐기물 처리 시설과 하수 종말처리장 등 하수 처리 시설은 필요성은 높지만 선호도가 낮았다. 장례식장·납골당 등 장사시설은 필요성과 선호도 모두 낮았다. 입지 선정 논의 시 예상되는 갈등 수준을 묻는 문항에서 7점 만점 평균 점수로 산출한 결과 폐기물처리시설(6.11점), 하수처리시설(5.44점)의 순으로 높게 조사됐다.

비선호 시설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생활환경 피해’를 꼽은 응답 비율이 전 항목에 걸쳐 높게 나타났다. 청년 임대주택 등 공공 임대 주택은 ‘경제적 피해’(52.8%)를, 장례식장·납골당 등 장사 시설은 ‘지역 이미지 훼손’(42.6%)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로 꼽았다.
헤럴드경제

주거지 인근 시설 입지 시 태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선호시설 입지 결정 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주민의견 수렴’(45.8%)이 가장 높았고, 주민 의견 수렴 방식은 ‘주민공청회’(36.2%)와 ‘정보 제공 및 숙의·토론’(34.3%) 순으로 응답했다.

비선호시설 입지 선정 시 가장 큰 갈등 유발 요인은 ‘환경·안전·건강 등에 대한 주민의 요구 증대’(21.1%)가 가장 높았고 ‘시설의 혐오성 등 정서적 피해 관련 논의 부재’(18.0%), ‘정부(지자체)의 일방적인 추진’(17.1%), ‘반대 집단과의 타협점 모색 어려움’(14.9%), ‘갈등 해결을 위한 제도 및 절차의 미비’(14.8%) 등의 순으로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선호시설 입지 지역 주민들에게 보상 차원에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에 대한 의견은 82.1%가 ‘찬성’하는 응답 비율이 ‘반대’ 5.8%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입지 지역 주민들에게 지급하는 인센티브 유형으로는 ‘공과금 공제 등 개별 주민에 대한 경제적 혜택’이 49.2%로 가장 높았다.

한편 이번 인식조사에서는 거주하는 지역 내에 비선호시설이 입지하는 것과 관련하여 주민의견을 수렴한다면 참여 의향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 서울시민 10명중 9명이 “참여 의향 있다”고 응답했다.

홍수정 서울시 갈등조정담당관은 “이번 조사에서 폐기물 처리시설과 같이 필요성은 높으나 선호도가 낮은 공공시설은 입지 선정 과정에서도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 유형별 선호하지 않는 이유도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며 “이러한 조사결과는 비선호시설을 기획하는 단계부터 갈등 수준 및 양상을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hoig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