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100분 토론’ 방송 직후 김현미 통합당 의원과의 대화 유튜브로 공개돼 / 김현미 “국토위 소속 여당 의원이 그렇게 말씀하시면…” / 진성준 해명 “그런 뜻 아니다, 집값 하락한다고 정부 정책 막는 주장에 반박한 것”
진성준(사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방송토론 직후 마이크가 꺼진 줄 알고 “그런다고 집값 안 떨어진다”라고 말해 논란에 휩싸였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한계가 있음을 시인한 셈이라는 지적이 잇따르자, 그는 “왜곡 보도를 멈추라”고 발끈했다.
진 의원은 지난 16일 오후 방송된 MBC ‘100분 토론’에 패널로 출연했다.
이날 방송에선 ‘집값 과연 이번엔 잡힐까’라는 주제로 ‘7·10 부동산 대책’에 관한 논의가 진행됐다.
진보 패널로는 진 의원을 비롯해 최배근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보수 패널로는 김현아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과 같은 당 의원이 출연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의 22차례에 걸친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수도권 집값이 좀처럼 잡히지 않는 이유, 향후 정책 방향 등에 관해 논의했다.
특히 해당 토론은 TV뿐만 아니라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생중계됐는데, 출연진은 방송에서 사회자의 마무리 발언이 나가자 마이크가 켜져 있는 줄도 모르고 대화를 이어갔다. 이 내용은 유튜브를 통해 고스란히 방송됐다.
김 비대위원은 “(집값이) 떨어지는 게 국가 경제에 너무 부담되기 때문에 그렇게 막 떨어뜨릴 수가 없다”고 했고, 진 의원은 “그렇게 해도 (집값은) 안 떨어질 거다. 부동산 뭐 이게 어제 오늘 일인가?”라고 수긍하며 답했다.
그러자 김 비대위원은 “여당 국토위 위원이 그렇게 얘기하시면 국민들은 어떻게 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진 의원은 침묵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
공교롭게도 이날은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서 열린 ‘제21대 국회 개원식’에 참석해 집값 안정을 위해 모든 수단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날이었다.
문 대통령은 국회 개원연설에서 “정부는 투기억제와 집값 안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며 “부동산 투기를 통해서는 더 이상 돈을 벌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겠다”라고 역설했다.
TV토론에서도 진 의원은 “이제야 부동산 정책의 원칙이 확립될 때가 왔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1가구 1주택 원칙을 확립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을 합의할 때”라며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고위전략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
논란이 일자, 진 의원은 방송 다음날인 17일 페이스북에 ‘100분 토론 발언 관련 왜곡 보도에 유감을 표한다’라는 제목의 해명 글을 올렸다.
그는 “어제 MBC ‘100분 토론’을 마친 후 미래통합당 김현아 비대위원과 저의 대화 내용이 토론의 맥락과 무관하게 왜곡 보도되고 있어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라며 “언론에서도 저의 진의를 충분히 반영해서 보도해 주시기를 당부 드린다”고 했다.
이어 “김현아 비대위원이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게 국가 경제에 너무 부담되기 때문에 그렇게 막 할 수가 없어요’라고 말했고, 이에 저는 ‘그렇게 해도 안 떨어질 거다’라고 답했다”라면서 “이 발언은 정부의 대책이 소용없다는 취지가 아니다. ‘집값 떨어지는 것이 더 문제다’라고 주장하면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의 발목을 잡으려는 ‘집값 하락론자’들의 인식과 주장에 대한 반박”이라고 설명했다.
진 의원은 “제 발언의 진의는 ‘집값 하락’ 이라는 과장된 우려로 부동산 투기에 대한 규제를 막으려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라며 “토론에서도 정부의 7·10 부동산 대책을 계기로 ‘1가구 1주택’의 원칙을 확립해 나갈 것을 일관되게 주장한 것”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이러한 발언의 맥락을 무시하고, 저의 진의를 확인하지도 않고 왜곡하여 보도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라며 “‘집값은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냉철한 인식과 비상한 각오로 부동산 투기 억제와 실수요자 중심의 ‘1가구 1 주택’ 원칙 확립을 위해 더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사진=연합뉴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