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0 (토)

이슈 레바논 베이루트 대폭발

'人災'에 분노한 레바논 시민들 거리로..."대통령이 테러리스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수천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 폭발사고가 인재(人災)라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자 분노한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반정부 시위를 펼쳤다.

영국 BBC에 따르면, 6일(현지시간) 거리에 나온 시위대가 최루탄 등으로 무장한 레바논 안보군과 충돌하면서 혼란이 빚어졌다.

뉴스핌

[베이루트 로이터=뉴스핌] 이홍규 기자 =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반(反)정부 시위가 벌어진 가운데 시내 의회 인근 거리의 불이 붙은 곳을 주위로 시위자들이 모여있다. 2020.08.07 bernard0202@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날 외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베이루트를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사고 피해 현장을 둘러보는 자리에서 잔해를 치우던 자원봉사자 수십명이 "국민은 정권 퇴진을 원한다"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은 테러리스트"라고 외치기도 했다.

베이루트 폭발 사고로 145명이 사망하고 5000명이 다쳤으며 30만명 이상이 집을 잃은 가운데, 항구에 보관 됐던 2750t의 질산암모늄이 관리 소홀로 폭발했다는 사고 원인이 알려지자 시민들의 반정부 감정이 거세지고 있다.

레바논 관영 언론은 이번 주 사고 조사 과정에서 16명이 체포됐다고 전했다. 또한 베이루트항 질산암모늄 보관 및 관리와 관련된 관리들은 모두 가택연금에 처해졌다.

FT에 따르면, 레바논 총리실 대변인은 세관 관리부터 판사, 전직 장관들까지 질산암모늄이 보관돼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관료들 모두에게 가택연금이 내려졌다고 전했다.

하지만 레바논 정부가 자체 조사로 사고의 진상을 제대로 파악하고 책임자를 처벌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인권단체들은 국제 전문가가 포함된 독립 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고, 마크롱 대통령은 투명한 조사 과정을 요구했다.

◆ 레바논 지도자 대신 사고 수습하는 마크롱

마크롱 대통령이 누구보다 먼저 베이루트 사고 현장으로 달려간 이유는 레바논이 프랑스 보호령이었던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베이루트에서 "개혁하지 않으면 레바논은 침몰할 것"이라고 촉구하며, 정권 퇴진을 외치는 시민들에게 "재난 원조 기금이 부패한 이들의 손에 들어가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프랑스 정부가 레바논의 부패 청산과 국가 안정을 위해 수년 간 요구해 온 정치 및 경제 개혁을 위해 레바논 정치 지도자들과 진지한 대화를 나누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패와 맞서 싸우기 위한 강력한 정치적 의지와 중앙은행 및 금융 시스템의 투명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프랑스 대통령이 레바논 지도자 대신 국민들을 달래고 변화를 약속한 셈이다. 외신들은 레바논 국민들은 자국 지도자들에 대한 반발이 워낙 강해, 과거 지배를 받았던 타국 지도자를 더욱 반겼다고 전했다.

뉴스핌

[베이루트 로이터=뉴스핌]김근철 기자=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가운데 흰 셔츠)이 6일(현지시간) 대형 참사가 일어난 레바논이 베이루트 항구 폭발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0.08.07 kckim100@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근본부터 썩은 레바논 정치 시스템

시민들은 이번 사고의 근본적 원인이 경제 붕괴와 국가 기능 마비를 초래한 집권 엘리트층의 고질적 부패와 실정에 있다고 보고 분노하고 있다.

레바논 정부 실패의 원인은 1975~1990년 내전 이후 정치적 혼란 속에서 수립된 각 종파 간 권력 분점 시스템에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지도자 1명의 통치를 받는 대신 19개 정파와 기독교 및 이슬람교가 동등한 권력을 나눠 가진 채로 국가를 운영하다 보니 집권 엘리트층이 모조리 권력을 무기한 보장받는 '고인 물'이 될 수밖에 없어 국가 이익보다는 사익을 추구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 경제 붕괴...사고 계기로 개혁 가능해질까

레바논 경제는 내전 종식 후 정치 실패로 파탄에 이르렀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8~9%에 이르던 연간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5.6%까지 떨어졌다.

사고 이전부터 레바논의 이처럼 경제 위기가 심화되는 와중에도 국제 기구들은 재정 지원을 꺼려 왔다. 정부 부패와 실정으로 개혁 가능성이 요원한 데다, 친이란 성향의 시아파 무장정파인 헤즈볼라가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레바논 국가 부채는 850억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150%에 달했다. 국가부도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통화가치가 가파르게 떨어져 물가는 급등했다.

정전이 일상이고 의료 인프라는 열악한 데다 안전한 식수마저 부족한 지경이 돼 민생고가 극에 달했다.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 '채텀하우스'의 중동 전문가인 리나 카티브는 FT에 "현재 레바논 경제 위기는 정치 시스템 때문"이라며 "레바논은 재건 비용을 감당하거나 경제적 자립을 달성할 능력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사고를 계기로 국제 원조를 빌미로 개혁을 강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수도 있다"며 "국민들의 분노가 거세지고 있는 만큼 지도부는 어느 정도의 개혁을 이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르완 아부드 베이루트 시장은 이번 사고의 피해액이 30억~50억달러가 될 것이라 예상했는데, 라올 네흐메 레바논 경제장관은 국제통화기금(IMF)과의 협력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베이루트 로이터=뉴스핌] 김선미 기자 = 4일(현지시간) 발생한 대규모 폭발로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의 시민들 중 100명 이상이 사망하고 2만5000명 가량이 집을 잃었다. 2020.08.05 gong@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ong@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