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北 폭우로 영변핵시설 손상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8노스, 홍수 전후 위성사진 분석… 구룡강 범람해 핵시설 주변 침수

전력망-냉각수 공급에 차질 추정… 우라늄 농축 공장은 큰 피해 없는듯

동아일보

지난달 22일 촬영된 북한 영변 핵시설 사진(위)과 이달 6일 찍힌 사진. 6일 사진에서 홍수로 인해 구룡강이 범람하면서 강을 가로지르는 댐과 영변 핵시설의 냉각수 공급을 위한 펌프 시설이 침수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핵시설 가동을 위한 전력망과 냉각수 공급 시설이 손상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38노스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영변 핵시설이 폭우로 인해 일부 손상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12일(현지 시간) “6일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22일에 비해 영변 핵시설 인근의 구룡강 수위가 급격히 높아져 상당한 규모의 홍수가 발생했다”며 “이로 인해 구룡강을 가로지르는 댐이 침수됐고 영변 핵시설의 냉각수 공급을 위한 펌프 시설도 물에 잠겼다”고 밝혔다. 38노스는 구룡강 범람으로 핵시설 가동을 위한 전력망과 냉각수 공급 시설이 손상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영변 핵시설은 400여 개 핵 관련 시설이 몰려 있는 북한 핵개발의 심장부다. 플루토늄을 생산하는 5MW 원자로와 재처리 시설, 고농축우라늄(HEU)을 생산하는 우라늄 농축 공장이 있다. 2018년 이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서도 영변 핵시설 영구 폐기가 주요 쟁점 가운데 하나였다.

전문가들은 냉각수 공급 시설이 파손되면서 인근 5MW 원자로와 실험용 경수로(ELWR)의 냉각수 공급에 차질이 생겼을 것으로 예상했다. 두 시설 모두 2018년 이후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물 공급이 필수적이다.

5MW 원자로에서 우라늄을 연소시킨 뒤 폐연료봉을 재처리하면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다. 냉각수가 공급돼야 플루토늄 생산이 가능하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통상 원자로를 냉각시키기 위해 펌프실을 통해 깨끗한 물을 공급한다. 펌프실이 수해를 입어 흙탕물의 모래나 자갈 등이 시설 내부로 유입되면 복구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38노스는 8∼11일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불어났던 강물이 빠진 것으로 나타나 우라늄 농축 공장 같은 핵심 시설은 큰 피해를 입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군 당국도 영변 핵시설 주변이 폭우로 인해 일부 피해를 입었지만 핵시설 가동에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 특이 동향은 없다고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 당국도 영변 5MW 원자로는 재가동 징후가 없지만 우라늄 농축 공장은 계속 가동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소식통이 전했다.

다만 위성사진으로 실제 피해 상황을 정확히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영변 핵시설이 더 심각한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신범철 한국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농축우라늄 공장이나 (수소탄의 원료인) 3중수소 생산 시설 등이 피해를 봤다면 북한이 핵물질 생산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권오혁 hyuk@donga.com·신규진 기자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